인천폴리텍대학, 부실수업 관련 학생들 신고에 ‘엉터리 대응’

인천폴리텍대학이 부실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신고를 받고도 엉터리로 조사를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폴리텍대에 따르면 지난 9월 ‘실습 시범을 학생이 한데다, 설명 등도 부족하는 등 수업이 부실했다’는 내용의 학생들의 신고를 받았다.

그러나 폴리텍대는 2개월이 지나도록 신고 학생이나 해당 수업을 들은 학생들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폴리텍대는 현재 지난해 1·2학기와 올해 1학기 학생들의 강의평가 등만 했다. 강의평가는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객관식 문항으로 확인하는 평가이기 때문에 부실수업 여부 등을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 결국 폴리텍대는 강의평가에서 일부 해당 수업이 부실했다는 답변은 확인했지만, 구체적인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추가 조사를 하지 않았다. 폴리텍대는 결과적으로 명확한 증거조차 확인할 수 없는 형식적인 강의평가를 가지고 시간만 낭비한 셈이다.

또 폴리텍대는 부실수업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수업을 담당한 교수가 아닌 다른 동료교수 8명을 조사했다. 하지만 이 조사 결과도 직접적인 증거가 아니라는 이유로 추가적인 진상파악 등은 하지 않았다.

이 같은 폴리텍대의 조사 방식은 학생신고가 들어오면 학생들의 의견부터 직접 확인하는 인하대·인천대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인하대의 경우는 학생신고에 대해 신고 건수 등과 상관없이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직접 학생들로부터 문제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다.

이 때문에 폴리텍대 학생들은 학교가 부실수업에 대해 엉터리로 조사한 뒤 문제를 무마시키려 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폴리텍대 관계자는 “구체적인 증거나 정황 없이 불만사항만으로 수강 학생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없었다”며 “직접적인 피해를 호소하는 신고가 들어오면 관련 증거 등을 분석해 조사하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