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뢰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지자체는 물론 국방부와 환경당국 등의 통합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양시 주민참여위원회와 장항습지 지뢰사고시민대책회의가 13일 오후 고양 일산서구 한양문고 주엽점 한강홀에서 개최한 ‘고양시는 지뢰로부터 안전한가?’주제 토론회에서 조영곤 장항습지 지뢰사고시민대책회의 운영위원은 이 처럼 밝혔다.
이어 “국방부가 고양시 공무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부분에 대한 목소리를 많이 냈다”며 “국방부는 지뢰대책 관련 입법이 제대로 안돼 오는 2023년 1월에나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전에 또 피해가 나면 사후대책이나 피해자 지원을 또 민간에게 떠넘길 것인가”라고 따졌다.
조 의원은 국방부 책임도 크지만 관리책임이 있는 환경부와 한강유역환경청에도 주목하고 있다며 관련 기관들의 입장을 들어보고 엇갈리는 의견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활동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뢰폭발사고 피해자 김철기씨도 “내가 마지막 피해자였으면 했는데, 안타까웠다”며 “김포에서 발생한 지뢰폭발사고는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곳이었는데도 왜 재발됐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가 났으면 왜 일어났는지, 수색작업 등 재발을 막아보려는 대책을 세워본 적이나 있는지 궁금하다”며 “시가 관련 대책 TF를 꾸려 운영한다고 하는데 궁금하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회에는 이재준 시장과 한준호·홍정민·이용우 국회의원, 조희송 한강유역환경청장, 김종대 심상정 대선후보 비서실장, 한동욱 (사)에코코리아 PGA생태연구소장, 조재국 평화나눔회 상임이사, 최태봉 주민참여위원회 기후환경분과장 등이 참석했다.
고양=김태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