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부 웅장한 로키 산맥의 긴 협곡에는 ‘돌아오지 않는 강(River of no Return)’이라 불리는 강이 있다. 물살이 빠르고 험해 당시 서부 개척자들이 뗏목을 이용해 이 강을 건너다 많은 희생을 당해서 생겨난 별명이다.
1955년 관능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마를린 먼로와 로버츠 미첨이 주연했던 영화 ‘돌아오지 않는 강’이 대단한 인기를 몰았는데 바로 그 배경이 되어준 강이다. 오래된 영화지만 지금도 그 주제가는 라디오에서 가끔 들을 수 있다. 먼로가 직접 부른 주제가를 들으면 그 위험한 물길에서 뗏목을 부둥켜안고 ‘돌아오지 않는 강’을 건너려고 몸부림치는 모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결국 주인공들은 그 ‘돌아오지 않는 강’을 건너고 사랑도 이루는 해피엔딩.
대통령 선거가 가까워지면서 ‘조국의 강’이 뜨겁게 회자되고 있다. 영화 ‘돌아오지 않는 강’에서처럼 ‘뗏목’까지 등장하고 있다. 조국 전(前)법무장관이 최근 그의 페이스북에 ‘저는 강이 아니라 뗏목에 불과하다’는 글을 올렸기 때문이다.
정말 그는 강이 아니라 뗏목일까? 이 문제를 처음 꺼낸 것은 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한 라디오에 출연해 “우리한테 주어진 과제 중에 큰 것은 결국 ‘조국의 강’을 확실히 건넜느냐”라고 언급하면서였다. 그러자 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 역시 조국 사태에 사과를 했고 특히 12월2일 방송기자클럽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 “아주 낮은 자세로 진지하게 사과드린다”고 했다. 하지만 같은 민주당의 추미애 전 법무장관은 이에 반발해 ‘조국의 강’은 실체가 없으며 ‘쥴리의 강’만 있다고 언성을 높였다. 바닥까지 긁어내고 다 파내도 표창장 한 장만 남았다고도 했다.
표창장 하나. 추 전 장관이 인식하는 표창장 하나의 의미와 국민들이 인식하는 표창장 하나의 의미에는 큰 거리가 있는 것 같다. 거기에 사태의 심각성을 추 전장관은 모르는 것일까, 알고도 무시하는 것일까? 사실 조국의 강은 조국 가족의 문제에서 시작됐지만 그것을 큰 강으로 만든 데는 ‘내로남불’의 사건들이 있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이용해 개인적 이득을 취했다는 소위 윤미향 의원의 ‘정의기억연대’ 사건은 지금도 재판이 진행 중이다. 그 사건이 엄청나게 세상을 시끄럽게 했는데도 민주당 소속을 무소속으로 자리만 옮겼을 뿐 여전히 금배지를 달고 있다. 윤희숙 의원이 아버지로 인해 발생한 부동산투기 의혹임에도 국회의원직을 내던진 것과는 정반대다.
‘재벌의 저승사자’로 불릴 만큼 경제 정의를 외쳤던 김상조 전 공정거래위원장, 청와대 정책실장은 세입자 보호를 위해 5% 이상 올리지 못하도록 자신이 앞장서 임대차 3법을 만들었는데도 자신의 청담동 아파트를 법 시행 이틀 전 141%나 기습 인상시킨 사실이 밝혀져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런 ‘내로남불’이 계속되자 이들 물줄기들이 모이고 모여서 강을 이루었고 그것이 마침내 ‘조국의 강’에 더해져 ‘돌아오지 않는 강’에서처럼 위험한 강이 됐다. 이 강물을 더욱 흐려 놓은 것은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 이어 오거돈 전 부산시장에 이르기까지 민주당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성추행 사건들이다. 여성의 인권과 공작자 윤리를 강력히 부르짖던 이들의 두 얼굴, 국민들을 얼마나 실망스럽게 했을까?
따라서 조국 전 장관은 민주당은 조국의 강을 넘어 들판을 향해 신속히 진군하고 있다고 하면서 ‘뗏목 고치는 일은 저와 제 가족, 소수의 동지’들 몫이라고 했지만 뗏목 고치는 것으로는 이 강은 건널 수 없을 것이다. ‘내로남불’이 바로 큰 강이기 때문이다. 뗏목이나 고치는 정도로는 ‘돌아오지 않는 강’이 되고 말 것이다.
변평섭 칼럼니스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