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북한산성 관청터 道기념물 지정…조선후기 수도방위 연구 탄력

고양 북한산성에서 발굴된 조선후기 군사시설터가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사진은 북한산성 내 조선후기 군사시설터 위치도. 고양시 제공

북한산성 내 군사시설터의 경기도 기념물 지정으로 조선후기 수도방위연구가 가속화된다.

14일 고양시에 따르면 북한산성 행궁지와 인접한 관성소지(管城所址)와 상창지(上倉址) 등이 최근 경기도 기념물 제229호로 지정돼 체계적인 보존과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

‘만기요람(萬機要覽)’에는 관성소이 경우 중앙 건물인 대청 18칸, 내아(안채) 12칸, 군기고(무기고) 3칸, 집사청(행궁 관리사무소) 3칸 등으로 구성됐고 상창은 군량미 창고였다고 기록됐다.

이들 시설은 훗날 불에 타 없어지고 축대와 초석만 남았으나 그것마저 산사태 등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고양2
고양 북한산성에서 발굴된 조선후기 군사시설터가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사진은 북한산성 내 관성소지(管城所址)와 상창지(上倉址). 고양시 제공

고양시는 이에 지난해 6월부터 현지를 조사해 관성소와 상창 등의 위치와 규모, 운영 시기 등을 파악했다.

북한산성은 1636년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과 강화도만으로 한양을 지킬 수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뒤 수도방어를 위해 1711년 축조됐다.

축성 직후 한양수비를 맡은 중앙군대인 훈련도감과 어영청, 금위영 등이 각각 예하부대를 파견해 산성관리를 분담했으나 이듬해인 1712년 숙종의 지시로 관성소가 창설돼 산성 내 모든 행궁과 창고, 사찰, 군대 등을 관리했다.

시는 이들 유적이 조선후기 군사제도와 수도방위연구는 물론 향후 북한산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 경기도에 문화재 지정을 요청해 최근 성사됐다.

시 관계자는 “관성소 등의 전체 건물 배치 등을 자세히 밝혀 국가사적으로 승격될 수 있도록 추가 발굴조사를 벌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김태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