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 지역에 1천500명이 넘는 장애인이 있지만 이들을 간병하고 활동지원 할 전문기관인 장애인복지관이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전문가들은 군이 수요조사를 통해 섬별로 소규모 장애인복지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0일 군에 따르면 지역 내 간병 등이 필요한 발달장애인 220명을 비롯해 모두 1566명의 장애인이 있다.
하지만 옹진지역이 섬으로 이뤄지다보니 아직 장애인복지관이 없는 상태다. 옹진지역을 제외한 인천의 10개 군·구에는 모두 장애인복지관이 있다. 이 때문에 군은 면사무소를 통해 노인 등의 복지 서비스를 하고 있을 뿐, 장애인을 위한 실질적인 간병 및 활동지원 서비스는 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복지관은 간병이 필요한 발달장애인과 간병 시민활동가를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또 모임 등 사회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 지원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중증 정도 및 현황 등을 전문적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장애인들에게는 필수 기관이다.
군은 그동안 장애인복지관 건립을 여러차례 검토해왔지만, 백령도와 영흥도 등 규모가 큰 섬 1곳에만 만드는 것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백령·영흥도에 장애인복지관을 건립해도 장애인들이 정작 섬 간 이동이 어렵다보니 번번히 백지화했다.
이 때문에 여전히 섬에 사는 장애인들 및 보호자들은 직접 간병인을 찾거나 사회화 활동 등을 위해 육지에 있는 장애인복지관으로 가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연평도의 장애인 보호자 A씨는 “섬에 장애인들이 함께 모여 소통하거나 전문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사회화가 떨어지는 문제가 심각하다”고 했다.
장종인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군이 지역 장애인을 상대로 복지관 건립에 대한 수요조사에 나서 섬별로 소규모 장애인복지관을 세우는 등의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중구는 영종도에 건물 일부층을 임대해 장애인복지관 분소를 만들기도 했다”며 “옹진에 장애인복지관이 없는 것과 관련해 섬지역이란 특징은 핑계일 뿐, 군의 의지가 부족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그동안 장애인복지관을 건립하려 했으나, 번번히 실패했다”며 “예산 및 인력 이동 등을 감안해 각 섬에 장애인복지관을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