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항운·연안아파트의 이주를 감안한 남항 일대의 난개발과 환경문제 개선에 손을 놓았다는 지적(본보 12월20일자 1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항만·주거 기능 재편 등으로 산적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20일 시와 인천항만공사(IPA) 등에 따르면 항운·연안아파트 인근의 서해대로는 화물차 통행비율이 35.5%에 달한다. 이는 화물차 통행비율이 10% 이하인 인천의 일반도로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 때문에 항운·연안아파트를 포함한 남항 일대는 소음·매연·분진 등의 환경문제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위험 역시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다.
특히 IPA가 지난해 1∼3월 남항 일대의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1일 평균 대기환경 기준치인 35㎍/㎥를 초과한 일수가 29일(3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IPA는 남항에 있는 석탄·모래부두에서 발생한 비산먼지 등이 일대의 높은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남항 일대는 2018년부터 이어진 물류센터 건립 추진 등에 따른 교통체증 문제, 항운·연안아파트의 이주와 모순적인 1천500가구 규모의 주상복합·오피스텔 건립이 이뤄지는 등 난개발이 심각하다.
전문가들은 시가 나서 남항 일대에 대한 장기적·종합적인 도시정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항만과 주거 등의 기능을 적절하게 관리해 난개발을 막는 동시에 공원·녹지공간 확충 등을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서종국 인천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남항 일대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와 정치권이 한 목소리를 내 석탄·모래부두를 조속히 이전하는 게 관건”이라고 했다. 이어 “화물차가 상업·주거지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우회도로를 만드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는 “종전 오염 지역이라는 인식을 걷어내려면 공원, 숲 등을 조성해 생태 공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항만과 인천의 특색을 살려 아쿠아리움 등을 만들면 시민들이 많이 찾는 장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조상운 인천연구원 도시공간연구부 연구위원은 “미래첨단산업 등을 육성해 남항 일대의 환경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청년 사업을 지원해 도시 이미지를 탈바꿈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서해대로에 대한 소음저감 방안과 덮개공원 등 녹지 공간 조성 등 여러 대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이어 “지역 안팎에서 나오는 환경 개선, 도시공간 재편에 대한 요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