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계획을 외부에서 모니터링 해주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등 후계농업인 육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돼 도내 농업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21일 김포시농업기술센터 대회의실에서 ‘후계농어업인 육성 및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온ㆍ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토론회는 정하영 김포시장, 김철환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위원, 오상록 한국 4-H본부 전략사업부 과장, 권기표 김포시 4-H 연합회 청년농업인, 정재봉 청년농업인, 이헌재 청년농업인, 이인숙 김포시농업기술센터 농업진흥과장, 조동환 고촌농협 조합장 등이 주요 내빈으로 참석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권기표 청년농업인은 “영농들이 경험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의 건전성을 검토해줄 기관 지원이 필수적이다”면서 “시중에 필요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영농에게 외부에서 전문적으로 모니터링 해주는 기관이 있으면 농산물 생산의 시행착오가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서 펼쳐진 토론에서도 다양한 정책제안이 이뤄졌다.
정재봉 청년농업인은 “영농 초기의 청년농업인에게 주거복지 혜택을 지원해 주거안정과 지역정착을 도모해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경기도 지역의 군부대와 학교 납품 농산물 입찰 시 인근의 농업인이 생산한 농산물에 가점을 부여하는 혜택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에 스마트팜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헌재 청년농업인은 “중소규모의 농가가 많고 경기도의 특성을 고려해 공간효율이 높은 스마트팜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면서 “이를 위해 경기도 차원에서 스마트팜 농지 지원이나 스마트팜 전용 대출을 마련해 열심히 하는 영농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하영 김포시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청년농업인들의 지금의 상황과 앞으로 요구되는 것들을 잘 들었다”면서 “오늘 제안한 정책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체크를 해서 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는 부분은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