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코로나19 방역지원금을 놓고 경기도 소상공인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얼마가 됐건 지원금을 받아 다행’이라는 등 양 측의 의견이 팽배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기부는 총 3조2천억 원 규모의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영업시간 제한 90만 개 사와 매출 감소 소상공인 230만 개 사 등 320만 개 사를 대상으로 100만 원씩 방역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날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홀수가, 28일은 짝수인 소상공인이 신청할 수 있다. 29일부터는 홀짝 구분 없이 모두 가능하다.
이처럼 중기부가 방역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도내 소상공인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리는 분위기다.
성남시 분당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A씨(58)는 방역지원금에 대해 엄청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2년째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 여파에 따른 지원금이라는 취지에 맞게 어느 정도 합당한 액수가 산정돼야 히지만, 가게 월세에도 한창 못 미치는 수준이여서다.
A씨는 “코로나 피해로 인해 총 5천만 원이 넘는 돈을 대출받은 상태”라며 “연말 대목에 장사했으면 지원금의 몇 배는 더 벌 수 있다. 이 돈을 받고 좋아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프랜차이즈 카페 사장 B씨(45ㆍ안성시 원곡면)도 “방역 정책에서 늘 힘없는 소상공인들만 피해를 받아왔다”면서 “정부는 보여주기식 말고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손실보상제에 이어 정부의 방역지원금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내비친 소상공인도 있었다.
오산시 궐동에서 민속주점을 운영하는 C씨(50)는 “일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정부가 피해액에 대해 100% 보상을 외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정부가 조금씩 소상공인의 손실을 보상해주는 것만으로도 희망을 본다. 어려운 시국에 국가와 소상공인들이 모두 마음을 합쳐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는 비록 적은 금액일지라도 소상공인을 위해 늘 노력하는 정부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면서도, 방역에 절대적으로 협조해 온 소상공인들을 위해 정부는 끝까지 노력해줄 것을 강조했다.
한편 중기부는 이날 방역지원금에 이어 29일부터 방역 패스 적용 대상 소상공인·소기업들에 ▲전자 출입명부(QR코드) 확인 단말기 ▲체온측정기 ▲칸막이 등 방역물품 구매비용을 최대 10만 원씩 지원한다. 신청 방식 및 지급 방식은 별도 추가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