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로 일반화사업 2년 지나도록 방향도 못잡고 표류

사업기간 연장 등 불가피

인천시가 추진 중인 옛 경인고속도로(인천대로)의 일반화 사업이 기본계획을 마련한지 2년이 지나도록 구체적인 설계 방향조차 잡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광역 고급간선급행버스체계(S-BRT)와 트램 구축 계획도 확정하지 못한 탓에 공원·녹지로 먼저 조성한 뒤 이를 다른 부대시설로 교체하는 등의 사업비 중복 문제는 물론, 이에 따른 사업기간 연장 등도 불가피하다.

27일 시에 따르면 2016년부터 총 사업비 8천560억원을 들여 오는 2026년까지 인천대로의 인천기점~서인천나들목(IC) 10.45㎞ 구간 지상에 공원을 만들고 양 옆에 왕복 2·3차로 도로와 S-BRT를 설치하는 등의 일반화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연안부두부터 부평까지 연결하는 트램도 인천대로 내에서 주안국가산업단지 인근부터 가좌역 인근까지 지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지하에는 왕복 4차로인 간선형 도시고속화도로를 설치한다.

그러나 시는 최근 인천대로 상부에 만들 23만㎡ 규모의 도시계획시설상 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을 취소하고 녹지화하는 방안으로 선회했다. 공원 내 도로·철도 등을 위한 시설·면적을 바꾸려면 도시계획위원회를 거쳐야 하는 등의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시 안팎에선 시가 2년 전 사업 추진을 본격화할 때 검토해야 할 도시계획시설 폐지를 뒤늦게 추진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미 올해 초 인천기점~인하로 부근(1.8㎞, 1공구)의 사업 발주가 이뤄진 데다,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의 준공 목표 시점도 5년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당초 가좌IC~서인천IC 구간의 일반도로화를 추진하다 이후 상부도로 중 장고개로~서인천IC 구간의 편도 2차로를 3차로로 변경하며 사업 기간만 5년여 늘어났다. 이 때문에 인천대로변 개발과 주변 재생사업까지 덩달아 늦어지기도 했다.

특히 인천대로에 들어설 S-BRT는 아직 사업 여부도 불확실하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을 거쳐 내년에야 사업 추진 여부가 결정날 예정이다. S-BRT 구축을 위해서는 왕복 2차로, 약 8m의 도로가 필요해 미리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해야 하지만, 시는 이를 위한 도로와 녹지의 경계·규모 등을 결정하지도 못한 상태다.

이와 함께 트램은 아예 사업 타당성 여부조차 알 수 없는 등 추진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시는 지난달에서야 1년짜리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이후 기재부의 예타와 기본계획 및 설계 등을 거치면 최대 10년까지 걸릴 수 있어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에 포함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결국 시는 일단 S-BRT 및 트램의 설치 예상 구간에 잔디 등을 깔아둔 뒤, 나중에 잔디를 뜯어내 S-BRT 및 트램을 만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사업비가 중복으로 들어가는 것은 물론,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의 공기 연장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도로 및 철도, 공원·녹지 등 담당부서와 함께 사업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하겠다”며 “시민들이 최대한 불편함 없이 인천대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사업과 주변 재생사업을 잘 추진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