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환경단체가 ‘경기형 청정하천’ 사업이 생태계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 해당 사업이 하천의 건강성 회복에 초점을 맞춰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 23일 경기형 청정하천 사업 공모를 통해 수원시 황구지천과 이천시 중리천을 도시ㆍ문화형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앞서 지난 9월에는 포천시 고모천(여가ㆍ체육형)과 양주시 입암천(관광ㆍ균형발전형)을 대상지로 결정한 바 있다.
도는 각 사업 대상지에 4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일선 시ㆍ군 관계자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경기환경운동연합은 입장문을 내고 “경기형 청정하천 사업이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추진돼야 한다”며 “기존과 다르지 않은 하천 정비 사업이 되풀이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기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하천 정비 사업이 추진된 사례를 돌아보면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은 경우가 없었다며, 이번 사업 역시 ‘사람과 자연의 공존’이라는 가치가 대규모 토목공사에 뒤덮이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고수부지(홍수 등 피해를 막고자 큰 물이 발생했을 때만 물에 잠기는 하천 언저리 공간)는 그 자체로 하나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며, 이 공간을 체육시설ㆍ주차장ㆍ산책로 등으로 조성 시 하천의 야생생물 터전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하천변의 개발로 인간의 활동 범위가 하천 내 생물들과 가까워지는 점도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경기환경운동연합은 콘크리트와 구조물 등의 설치로 하천을 무턱대고 인공화하는 것보다, 하천의 환경 보전 및 생물 다양성 확대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환경운동연합으로부터 관련 내용을 전달받았으며, 내년에 예정된 협의체 구성 등에 환경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천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