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신병을 확보하지 못한 곽상도 전 의원과 연결되는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했다.
다만 사건 관계인이 연달아 숨진 데다 ‘윗선’ 수사로 가는 발판이 될 주요 인물들에 대한 조사가 늦어지면서 대선까지 의혹 규명은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30일 김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앞서 검찰은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난 2015년 화천대유-하나은행 컨소시엄이 무산될 위기를 곽 전 의원이 막아줬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당시 경쟁 구도였던 산업은행 컨소시엄 측에서 김 회장 측에 기존 컨소시엄을 깨고 함께할 것을 제안하자, 김씨가 곽 전 의원에게 부탁해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곽 전 의원이 김씨의 부탁을 들어준 대가로 아들을 화천대유에 취직시킨 뒤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을 챙긴 것으로 판단, 특정경제범죄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됐다. 기각 시점은 이달 1일로, 곽 전 의원을 둘러싼 의혹에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가진 김 회장을 불러들이는 데 한 달에 가까운 시일이 소요된 것이다.
여기에 대장동 사업 추진 당시 성남시장으로 재임했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 이어지는 정진상 민주당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의 소환도 계속 불발되고 있다. 그는 과거 성남시 정책실장으로 이 후보를 보좌했으며, 검찰 수사가 윗선 규명으로 올라서기 위한 핵심 중 하나로 꼽혀 왔다. 그러나 연내 소환은 사실상 어려워진 모양새다.
정 부실장의 이름은 실시계획 인가 보고서를 비롯해 각종 대장동 문건의 결재라인에 여러 차례 등장했다. 또 황무성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초대 사장의 사퇴 압박에도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다만 지난 2015년 2월 오간 ‘사퇴 종용’ 대화에 직권남용이나 강요 등 혐의를 적용할 경우 이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는 7년으로, 2개월 남짓 남아 있다.
검찰 관계자는 “사건 관계인에 대한 소환이나 출석 등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