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상대적으로 소외받던 근대문화유산을 보존하고자 ‘경기도 등록문화재’ 지정 제도를 도입(경기일보 2021년 10월28일자 3면)한 가운데, 도가 올해부터 등록문화재 ‘기록화 사업’을 추진해 체계적인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본예산에 ‘경기도 등록문화재 기록화 사업’ 관련 예산으로 1억5천만원을 반영했다. 당초 도는 지난해 관련 예산으로 3억원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지만, 도의회 심의 과정에서 예산이 절반으로 축소됐다.
우선 도는 이번 예산으로 지난해 10월 선정된 등록문화재의 역사와 의미 등을 영상 콘텐츠와 문서 등으로 기록화한다. 앞서 도는 ▲동두천 자유수호평화박물관 소장 한국전쟁 피난민 태극기 ▲파주 갈곡리 성당 ▲오산 유엔군초전기념비와 옛 동판ㆍ한국노무단(KSC) 안내판 등 11건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한 바 있다.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기록 자료는 도민을 대상으로 도내 근대문화유산을 홍보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는 기록화 사업과 함께 등록문화재 제도의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추가 등록문화재 지정에도 나선다. 도는 오는 3월 예정된 경기도문화재위원회 회의를 열고, 일선 시ㆍ군이 추천한 도내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등록문화재 지정 심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도는 지역의 문화 인프라를 확대하는 데 등록문화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등록문화재가 위치한 일선 시ㆍ군과의 협업은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등 구체적인 활용 방안은 수립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용역 시행이나 각 시ㆍ군과의 MOU 체결 등은 도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이와 관련 도는 일단 올해 본예산에 반영된 기록화 사업부터 추진하고, 추가경정예산을 활용하거나 다음 회계연도에 관련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활용 방안 구상에 나설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말 등록문화재 지정 절차가 마무리돼 관련 예산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등록문화재 제도가 이제 첫발을 뗀 만큼, 올해부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