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전기차충전소 2곳 중 1곳은 '완충 10시간' 완속충전기

전기차 시대 뒤처져

인천지역 공공시설 내 전기차 충전소 2곳 중 1곳은 100% 충전까지 9시간 이상이 걸리는 완속충전기인 것으로 나타나 빨라지는 전기차 시대에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환경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공공시설에 설치한 전기차 충전소 440기 중 222기(50.45%)는 7㎾ 용량의 완속 충전기(2021년 12월31일 기준)다. 특히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10개 군·구의 주민·행정복지센터에 설치한 109기의 전기차충전소 중 88%에 달하는 96기가 완속충전기이다.

완속충전기는 64㎾ 전기차를 기준으로 완충까지 최소 9시간, 최대 10시간 이상이 걸린다. 반면 50~100㎾ 급속충전기는 최소 40분, 최대 1시간30분만에 완전 충전이 가능하다.

오는 28일부터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친환경자동차법)’을 도입하면서 공공시설 등은 의무적으로 전기차충전소를 설치해야 하고, 이를 보안 등의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최대한 대중에게 개방해야 한다.

그러나 완속충전기는 이 같은 법적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 최대 1시간 남짓 머무는 민원업무 소요시간 동안 전기차를 충전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 전기차충전소를 도입한 인천시교육청은 구월동 본청사 내부에 급속충전기 2대를 설치한 상태다. 인천시 역시 기존 완속충전기에 더해 급속충전기 2대를 확충하는 등 신규도입은 급속충전기를 택하고 있다.

반면 인천경찰청은 지난해 12월 3천500만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 전기차충전소 10기를 설치하면서 모두 완속충전기만 설치해둔 상태다. 게다가 설치 장소도 지하1층 주차장에 8기, 수사동 1층 주차장에 2기 등 사실상 민원인들이 사용할 수 없는 용량과 공간으로 신규설치를 한 상태다.

이에 대해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내부 자체예산을 절감해 설치한 것이라 대중에게 의무적으로 개방해야 하는 충전기는 아니”라며 “내부에서 급속충전기를 감당할 전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해 완속충전기라도 설치한 것”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완속충전기는 민원인들이 쓰기에 부적합하고, 내부 전력이 부족하면 외부에서 특고압선을 끌어와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며 “법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급속충전기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경희·최종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