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커피값 인상 신호탄…“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연초부터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가 가격 인상을 예고하면서 소비자물가에 빨간불이 켜졌다. 업계 점유율 1위인 스타벅스가 가격 인상 신호탄을 쏘아올리며 영업제한 등으로 매출 타격을 우려하던 소규모 카페 자영업자들도 가격 인상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이달 13일부터 매장 판매 음료 가격을 100~400원씩 인상한다. 스타벅스의 음료 가격 인상은 2014년 7월 이후 약 7년 6개월 만으로 최근 급등한 원두 가격 등 지속 상승 중인 각종 원부재료값, 물류비 상승 등으로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오는 13일부터 경기도내 373개 스타벅스 매장에서는 인상된 가격으로 매장을 이용해야 한다. 이밖에 동서식품도 맥심, 카누 등 커피제품의 출고가를 7.3% 높이는 등 업계 전반적으로 가격 인상 바람이 불고 있다.

소규모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도 마찬가지다. 용인 보정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씨(44)는 “원두값이 평균 2~3배가량 올라 기존 두세잔 만드는 비용으로 한 잔밖에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 “인근에서도 저가 매장들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을 고려하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다만 인근에 가격을 인상하지 않는 프랜차이즈 카페가 있는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가격인상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했다. 수원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B씨(33)는 “인근의 한 프랜차이즈 카페가 코로나 기간에 할인행사까지 진행하고, 이번에도 인상계획이 없다고 들었다”면서 “원두값뿐만 아니라 최저시급까지 올랐는데 이전 가격을 고수하는 것은 인근 카페를 말려 죽이려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표출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가격 전가 능력이 있는 기업들의 가격 인상은 전반적인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인상되면 수요가 둔화되기 때문에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가격을 쉽사리 올리지 못한다”면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떠넘길 수 있는 대형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소규모 자영업자들에게 가격 인상의 여지를 준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앞으로 커피 서비스 관련 가격이 올라가고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