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역세권과 GTX-B 노선 연계한 개발계획 수립 시급

환승센터 등도 반영해야

인천지역 역세권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을 연계한 개발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1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등은 송도국제도시 인천대입구역에서 출발해 인천시청역과 부평역 등을 지나 남양주 마석으로 가는 GTX-B 노선을 추진 중이다. 연내 착공해 오는 2028년 개통 예정이다. 시는 인천지역 정차역이 인천도시철도(지하철) 1호선과 경인국철 등과 환승이 가능하도록 환승센터를 만들 예정이다.

시는 GTX-B로 인해 이들 역들이 승하차 인원 및 유동인구 등의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역들은 모두 인천의 주요 도심에 있는 만큼, GTX-B와 관련한 역세권 개발에 따라 지역 활성화뿐 아니라 전체 공간구조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시는 부평역은 이미 인구, 종사자, 카드매출액, 유동인구, 승하차 인원 등 활성화 정도가 매우 높은 곳인 만큼, GTX-B 환승이 이뤄지면 활성화 지표가 더 오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종전 시설에 신규 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개발을 통해 부평 상업거리 등 주변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다만 부평역 일대 소규모 개발을 할 땅이 부족해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곳은 2017년 이후 이미 신축이 활발히 이뤄져 현재 활용가능한 평균 땅이 1필지 당 200㎡ 이하로 규모가 작다. 게다가 땅값도 인천 역세권 중 유일하게 1㎡당 300만원을 넘는다. 이에 따라 시는 종전 시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발계획을 검토 중이다.

또 인천시청역은 시청이 있어 행정중심지라는 특징이 있지만 개발 등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만큼, 환승센터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개발계획을 짜야 할 필요성이 크다.

정동석 도시계획국장은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부평역이나 인천시청역 주변에 대해 역세권 개발과 관련해 조금 더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이를 위한 공간을 창조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