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G스테이션 ②] 혈세먹는 하마 꼬리표 떼고… 용인경전철 랜드마크 달린다
지역사회 G스테이션

[G스테이션 ②] 혈세먹는 하마 꼬리표 떼고… 용인경전철 랜드마크 달린다

교통 불모지 처인구 노선따라 변화의 新바람
개통 초기 숱한 시행착오, 애물단지 전락했지만
작년 7천524만명 이용하는 시민의 발로 우뚝

용인경전철 시청역. 경기일보DB
용인경전철 시청역. 경기일보DB
일제강점기 식민지 지배와 수탈의 도구로 이용됐다. 해방 후에는 국가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대한민국 철도 이야기다.

국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경기도에는 수많은 철도가 지나고 있다. 철도를 따라 조성된 역사(驛舍)는 인구는 물론 교통과 상권 등 지역 전반을 변화시켰다. 경기도를 지나는 철도와 주요 역사를 따라 과거부터 현재, 미래까지 변천사를 집중 조명하고, 그 속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 기차여행을 떠나본다. 편집자주

“용인경전철은 열악한 교통환경에 놓인 시민들에게 발이 돼 준 고마운 존재죠.”

용인시 처인구 용인경전철 삼가역에 만난 김영철씨(55)는 교량 위로 지나가는 아담한 크기의 열차를 가리키며 과거를 떠올렸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삼가역 일대는 수풀로 가득했던 휑한 공터였다. 하지만 지난 2013년 용인경전철이 개통되고 수천 세대 아파트 단지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상권이 형성돼 황무지였던 일대는 수년 새 역세권으로 탈바꿈했다. 그동안 교통불모지란 오명 아래 외면받았던 처인구가 경전철이 들어서면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용인경전철이 관통하는 기흥구 동백지구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약 7㎞ 이르는 기흥역~초당역 노선을 따라 길게 역세권 단지가 들어서면서 동백지구는 현재 8만 명이 넘게 거주하는 용인시 최대 거주지로 자리매김했다.

■숱한 우여곡절 거쳐 용인시 랜드마크로

14일 오전 8시30분경 용인경전철 시청·용인대역은 출근길에 올랐던 시민들이 한데 뒤엉켜 역사를 나오면서 북새통을 이뤘다. 이곳에서 만난 이세영씨(43)는 용인경전철이 지금처럼 활기를 띠게 될 줄 예상치 못했다고 했다. 시와 운영사가 운영비 협의 등에서 암초를 만나 개통이 3년이나 연기되는 등 개통까지 숱한 시행착오를 겪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010년 이미 용인경전철 역사가 완공됐는데도 용인시가 준공을 내주지 않다가 당시 운영사인 봄바르디어사로부터 국제중재법원에 피소돼 8천500억 원의 배상금을 물어주기까지 했다. 이씨는 “개통하기까지 시의 행정상 착오와 온갖 비리로 얼룩졌다는 기사를 보면서 얼마나 운행이 될까라는 우려가 있었다”고 회상했다.

용인경전철은 우여곡절 끝에 지난 2013년 4월이 돼서야 첫 운행을 시작했다. 노선은 기흥역을 시작으로 동백지구, 용인시청을 거쳐 전대리 에버랜드까지 총 15개 역을 오가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와 달리 개통 초기부터 혈세 먹는 하마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예상 수요를 뻥튀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부터다. 앞서 지난 2002년 한국교통연구원은 용인경전철의 1일 예상수요로 13만여 명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은 3만2천명 정도를 예상했지만, 개통 첫해 하루평균 승객은 8천여명 수준에 머물렀다. 한국교통연구원의 예상 수요보다 15배나 뻥튀기한 셈이다.

2013년 4월26일 용인경전철 개통식. 용인시 제공
2013년 4월26일 용인경전철 개통식. 용인시 제공

예상보다 큰 실패였다. 애초 높게 예상 수요를 잡은 탓에 매년 200억 원이 넘는 경전철 운영보전비를 지급해야만 했다. 지난 2016년이 돼서야 하루평균 승객 4만명을 돌파하면서 겨우 체면치레를 했다.

개통 9년차를 맞은 용인경전철은 차츰 시민들의 대중교통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다. 개통 초기 하루평균 8천명에 그쳤던 이용객은 지난 2019년 3만4천명, 2020년에는 2만2천명, 지난해 11월 기준 2만5천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기준 누적 이용객은 7천524만명이다. 덩달아 경전철의 연간 운임수입도 지난 2014년 50억 원에서 2020년 82억 원으로 증가했다.

어느덧 용인경전철은 강남대와 용인대 학생들의 통학수단으로, 교통불모지였던 처인구 주민들의 주요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기흥역은 분당선과 용인경전철의 존재로 주변 상권이 크게 발전하면서, 지난 2020년 기준 기흥역 월평균 이용객이 21만4천여명으로 용인경전철 전체 역사 가운데 가장 많은 이용객이 찾는 곳이다.

이 같은 변화와 함께 역 주변 땅값도 요동쳤다. 강남대역이 개통될 당시 3.3㎡당 1천만 원 수준이던 아파트 매매가는 올해 2천만 원을 뛰어넘었다. 삼가역 일대 역시 토지 매매가가 두 배 가까이 올랐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등이 지난해 9월 용인시청 앞에서 용인경전철의 다단계 운영구조 공영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경기일보DB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 등이 지난해 9월 용인시청 앞에서 용인경전철의 다단계 운영구조 공영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경기일보DB

■‘혁신 필요’ 용인경전철 둘러싼 변화의 바람

용인경전철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용인시가 교통 불모지에 놓고 처인구민들의 고통을 해소하고자 동백~신봉 연장과 광교 연장을 담은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을 추진하면서다. 다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남겨둔 만큼 사업 추진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그동안 지적돼온 다단계 운영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공영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노총 용인경전철 지부는 직영제를 통해 매년 수십억 원의 혈세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내년이면 현 운영사인 네오트랜스의 계약이 만료되는 만큼 이들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석주 용인경전철지부장은 “용인시민들의 안전과 밀접한 대중교통인 용인경전철의 공공성 확보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민간위탁은 운영이 불투명하고 감시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운영에 지자체가 직접 개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제 백군기 용인시장과 용인시의회에서 용인경전철 공영화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