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5년 전기·수소 친환경차 목표 달성 불가능…운행 인센티브 등 도입 시급

인천시가 오는 2025년까지 전기·수소차 6만대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정작 절반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가 버스·트럭·택시 등에 인센티브 등의 혜택을 주는 등 전기·수소차 보급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3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제3차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등과 연계해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5만대, 수소차 1만대 등 모두 6만대의 친환경차의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둔 상태다. 당시 시는 수송·상업·가정 등 온실가스 감축 부문에서 수송 부문의 비율을 가장 높게 잡았다.

하지만 인천연구원이 국토연구원의 친환경차 보급 추정 자료로 인천의 전기·수소차 보급률 등을 예측한 결과, 2025년에 인천의 전기차는 2만6천305대로 목표치의 52% 수준일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차는 2025년까지 4천500대(45%)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시의 목표치 6만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7월 기준 인천의 전기차는 8천446대이며, 수소차는 746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인천연구원은 지역 내 버스·트럭·택시 등 사업용 차량의 친환경차 전환을 위해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구매 단계에서 주는 인센티브 등의 혜택을 친환경차 운행 단계에서 지급하는 것이 보급률을 높일 수 있다고 봤다.

특히 인천연구원은 디젤 화물차와 시내버스를 친환경차로 전환할 때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보급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지역에는 항만, 공항, 대규모 산업단지 등으로 경유를 사용하는 대형 차량의 운행 비율이 다른 지자체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인천연구원은 최근 시가 추진하는 트램 사업에서 수소 트램을 투입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도심형 수소 트램은 변전소 등의 전력 설비가 필요 없고, 전철보다 조성 비용이 저렴한데다 적은 에너지로 대규모 수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올해 지역 내 500대 이상의 수소차가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를 위한 충전소도 2곳 늘릴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 친환경차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애쓰겠다”고 했다.

김보람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