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상황에서 천주교가 정부의 방역지침을 적극적으로 준수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지만, 사실 천주교 안에서는 적지 않은 타격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성당을 찾는 신자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 대면 문화에 뿌리를 둔 종교 생활이 비대면 생활로 치환되면서 대부분 ‘무엇을 해야 할지’, 또 ‘어떻게 해야 할지’, 급기야 ‘왜 종교 생활을 해야 하는지’까지 자문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실질적으로 종교에 대한 무관심과 감염병 위험에 노출된 신자들의 신앙 감각은 변하고 있다. 사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기존의 인격적 관계를 포기하라는 메시지가 아님에도 어쩌면 종교가 자연스럽게 ‘사회적 멀리하기’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목회데이터의 ‘종교(인) 및 종교인 과세 관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종교가 ‘다양한 봉사 활동의 주체’, ‘사회적 약자 보호’, ‘시민들의 심리적 불안감 해소’의 역할을 담당해주길 요구하고 있다.
평소 자비와 사랑을 가르치는 종교가 위기 속에서는 숨거나 머뭇거리는 모습처럼 여겨진 듯하다. 역설적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나선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교황은 우리만의 교회에서 세상과 함께하는 교회를 해법으로 내놓으신다. 바로 야전 병원과 같은 교회(전투가 끝난 뒤에 상처투성인 이들을 돌보고 치료해야 하는 병원의 역할) 말이다. 바로 팬데믹으로 극명하게 드러난 무관심, 버림과 대립의 문화에 맞서 싸우기 위해 ‘돌봄의 문화(a culture of care)’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한국 천주교회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적이었지만 그 이상의 연대와 나눔은 다소 소극적이었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런 와중에도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묵묵히 돕고 있는 교회 구성원들이 곳곳에 존재했다. 팬데믹 상황에서도 교회 구성원들이 운영하는 무료 급식소 성남 ‘안나의 집’과 인천 ‘민들레 국수집’을 찾는 자원봉사자들이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민주화의 성지인 명동성당 내 무료 급식소 ‘명동밥집’에서는 아직도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다. 비신자를 포함한 수백 명의 봉사자뿐만 아니라 1천200명의 후원자가 성금과 물품을 지원해줬다. 또한 교황의 의지대로 백신 수급이 어려운 나라를 도와주는 백신 나눔 운동도 병행하고 있다. 부족하지만 손 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대한민국은 이제 일상으로의 회복을 조심스럽게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2년 가까이 시행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마치 사회적 멀리하기로 여긴 우리들의 민낯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무기력한 체념에 빠진 우리 민낯을 인정했으면 한다. 나아가 종교가 일상 회복에 힘을 불어넣고 동시에 인격적 관계 회복에도 큰 노력을 기울여주길 희망해 본다.
김의태 수원가톨릭대학교 교회법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