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올해 지상조업 장비공유제 시범도입…ESG경영 실천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해 안으로 항공기 지상조업 환경 선진화를 위한 ‘지상조업 장비공유제’를 시범 도입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지상조업 장비공유제는 공항공사가 지상조업에 사용하는 고가의 친환경·고품질장비를 마련, 이를 각 사업자에게 대여하고 유지보수까지 담당하는 방안이다. 지상조업은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데 필요한 작업으로 수하물탑재, 항공기 급유 및 점검, 기내식, 기내청소 등이다.

공항공사는 현재 조업장비 대부분이 고가 제품으로 노후화한 상태인 동시에 사업자별 장비를 보유해 탄소배출량 증대 및 중복장비 방치 등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 공항공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노후화한 장비를 고품질·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하는 한편, 각 사업자에 공유해 탄소배출 저감, 조업사별 중복투자 방지, 작업환경 혼잡도 개선 등을 이뤄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인천공항 지상조업 안전성을 강화하고 작업환경을 선진화할 계획이다.

공항공사는 올 상반기 지상조업 사업자와 세부협의를 거쳐 공유 장비의 규모 및 종류를 확정한 후 연내에 운영 사업자를 선정해 장비공유제를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김경욱 공항공사 사장은 “국토교통부 및 지상조업사 등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국내 공항 최초로 장비공유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안전 최우선 무사고 공항 및 친환경 공항 도약을 위한 ESG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했다.

한편, 홍콩국제공항은 2018년 장비공유제를 도입했고, 2023년까지 1천여대의 장비를 공유할 계획이다. 영국 루턴공항 역시 장비공유제 도입을 통해 조업비용을 77% 절감하고 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