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노인 인구의 증가 등으로 2027년부터 초고령사회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본보 2021년 12월29일자 1면)이 나온 가운데 인구구조의 고령화·저출산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중증 의료기반 등 인천의 환경도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인천본부 등에 따르면 인천의 만 60세 이상 고령인구 실업률은 5.2%로 전국 평균 3.8%보다 1.4%p가 높다. 인천의 고령인구 1만명당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은 전국 평균 1.6곳보다 적은 1.3곳에 그친다.
이런데도 인천의 인구 100만명당 상급종합병원 수는 1곳으로 서울 1.4곳보다 적을 뿐 아니라, 인구 1천명당 의사 수 역시 1.8명으로 전국 평균 2.1명보다도 적은 상태를 보인다. 이에 따라 인천은 전문적인 진료와 중증·중증도 질병에 대한 치료를 서울 등 지역 밖에서 받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들 지표는 모두 고령화와 관련한 대응환경이다. 결과적으로 인천의 고령인구 실업률,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전문·중증 의료기반 등 고령화 관련 대응환경은 수도권을 넘어 전국과 비교하더라도 열악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인천의 저출산 문제와 관련한 대응환경도 열악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당장 인천의 아동보육 보급률(0~5세 인구 대비 어린이집 정원)은 전국 평균 73.9%보다 4.9%p 낮은 69%다. 유아 100명당 유치원 수도 전국 평균 0.69곳보다 적은 0.56곳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박동훈 한국은행 인천본부 조사역은 “인천시 등 정책당국은 고령화 등 인구구조 대응환경 조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일관성 있는 정책 수립·집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