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 등 교육 ‘일자리 매칭’ 차질
감염병 발생후 취업률 30%→12%
지역경제 타격 고용 한파 악순환
경기도가 결혼이민자들의 사회활동 참여 확대와 일자리 매칭 등을 지원하고자 추진하는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사업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기 전인 지난 2019년 해당 사업을 통한 결혼이민자 취업률은 약 30%에 달했지만, 감염병 사태가 발생한 이후 취업률은 10% 내외에 그치고 있다.
2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다문화가정을 이뤄 도내에 정착한 결혼이민자의 구직희망 수요를 파악, 맞춤형 취업교육을 시행한 뒤 고용 연계까지 지원하는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사업의 교육 분야는 ▲바리스타 ▲제과·제빵사 ▲이중언어강사 ▲조리사 ▲이·미용사 등의 외식업 또는 서비스업으로 구성돼 있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지난 2019년 도내 결혼이민자 843명에 대한 교육을 추진, 이들 중 27.8%(234명)의 취업 연계를 성공시키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지난 2020년 1월부터 국내에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면서 해당 사업의 취업률이 급락했다. 도는 2020년 결혼이민자 1천119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으나 이들 중 취업에 성공한 비율은 12.1%(135명)에 그쳤다. 지난해의 경우 아직 취업률 집계가 완료되지 않았으나 도는 전년과 비슷한 10% 내외의 취업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중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자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아 해당 사업의 취업률이 반토막 이상으로 감소한 셈이다. 도는 이 같은 취업률 감소가 코로나19 여파로 골목상권 등 지역경제가 타격을 받으며 고용 여건이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는 해당 사업은 ‘고용 정책’이 아니라 결혼이주민의 지역사회 정착을 돕기 위한 ‘사회화 지원 정책’이라며, 취업률 관련 별도의 보완 대책을 수립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도는 다른 다문화가정 지원사업과 연계해 고용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도 관계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지역 소상공인들이 경영난을 겪게 돼, 요식업과 서비스업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며 “이런 요인으로 인해 결혼이민자 취업률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며, 방역 상황에 맞는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