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 연안사고 꾸준해 대책마련 시급
인천지역 연안사고가 해마다 끊이질 않고 있다. 더욱이 인천해경이 연안사고를 줄이려 만든 ‘연안사고예방협의회’도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23일 해양경찰청과 인천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인천지역의 연안사고는 2019년 85건, 2020년 105건, 지난해 100건이 발생했다. 인천과 평택, 태안, 보령 해역을 함께 관리하는 중부해역의 연안사고가 지난해 총 230여건인 것을 고려하면, 사고의 절반 가량은 인천 연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지역 내 연안사고의 80% 이상은 예방과 단속으로 막을 수 있는 추락·고립·익수사고에 몰려있다. 지난 21일 서구 북항 인근에서 발생한 사고 역시 30대 남성 B씨가 물에 빠지는 익수사고였고, 지난 1일 강화군과 중구 대무의도에서 발생한 사고는 모두 물 때 등을 잘못 계산해 생긴 고립 사고로 나타났다.
특히 인천의 연안 위험구역이 2020년(69곳)보다 지난해 2곳 늘어났고, 코로나19 이전이던 2019년 2만명 수준이던 지역 내 해수욕장 관광객 역시 지난해 12만명으로 4배 이상 늘면서 사고 위험은 더 커진 상태다.
그러나 인천해경이 이런 연안사고를 예방하고 단속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만든 협의회는 지난해 서면으로 1차례 열린 게 전부다. 인천해경은 협의회 목적에 있는 유관기관과의 활발한 토의나 의견 교환 대신 자체 제작한 ‘2022년 연안사고 예방계획’을 일방적으로 협의회 구성원에게 보내기만 했다. 인천해경은 협의회 위원들에게 이 계획에 대한 의견을 받은 뒤 공유하는 일종의 ‘피드백’도 하지 않은 상태다.
인천의 협의회는 인천해양경찰서장을 위원장으로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인천 강화·옹진군 및 중·남동구와 경기도 김포시 등 지자체 관계자, 영종·중부소방서 등 모두 12명으로 꾸려져 있다.
이에 대해 인천해경 관계자는 “다른 유관기관 외부위원들과 일정을 맞추기가 어렵고, 코로나19 때문에 서면으로 진행한 것”이라며 “올해는 더 자주, 다양한 안건으로 협의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올해 지역별 협의회를 처음으로 시작해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올해는 최대한 대면으로 개최하거나, 활발하게 의견 공유할 수 있는 비대면 방식을 고민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