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3만명 ‘은둔형 외톨이’ 실태파악 및 정책 전무…사회적 비용만 48조

인천시가 3만명에 이르는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지원·관리 정책을 외면하고 있다. 이들의 사회적 비용이 48조원에 달하는 만큼 가정·학교·사회를 통합한 ‘컨트롤타워’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인천지역 청년 82만6천71명 중 은둔형 외톨이는 2만8천여명으로 추정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은둔 청년이 3.4%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에 따라 약 3만명의 은둔형 외톨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아 발생하는 인천지역 사회적 비용은 48조원에 달한다.

김영근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등이 최근 은둔형 외톨이 경험이 있는 만 24세 미만 5명을 대상으로 은둔 경험에 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했다.

A씨는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아 세상으로부터 도피하려 수년간 온라인 게임 등에 의지했고 밤과 낮이 바뀌기도 했다. 또 B씨는 타인의 시선을 두려워해 외출을 극도로 피하고 자신의 둥지(방)에서만 안정감을 찾기도 했다. 이들은 상담 기관 등의 도움을 받아 결국 은둔형 외톨이에서 탈출해 자유를 경험한 뒤, 취업 등을 통해 자존감을 되찾고 상처받은 마음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인천시에는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책이 전무하다. 이들에 대한 실태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인천시는 고독사 예방 정책에 따라 단전·단수 등으로 위험가구를 발견하거나 1인 가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은둔형 외톨이 중 일부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할 뿐이다. 또 청년마음 건강 지원사업 등으로 상담을 원하는 청년에게 심리상담을 지원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은 청년의 경제활동 인구가 지난 2019년 63만1천명에서 지난해 59만6천명으로 감소했다. 또 지난해 청년 6천797명이 타 시·도로 빠져나가는 등 유출 문제도 심각해 사회·경제활동을 하는 청년 수를 늘리는 등 해결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반면, 광주·서울·부산·제주·전남 등은 은둔형 외톨이 관련 조례를 만들고 지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은둔 청년을 사회로 이끌어 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경제 활력을 높인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광주시는 지난 2019년 10월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만들고 집집마다 안내문을 발송해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태조사를 했다. 지난해엔 부모 자조모임·방문 상담 등을 추진, 올해는 ‘은둔형 외톨이 지원 중장기 계획(2022∼2026년)’을 만들고 은둔형 외톨이 지원 센터 건립을 계획중이다. 이 밖에 서울시 등도 관련 조례를 근거로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실태 조사에 나선 상태다.

김혜원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교수는 “청년은 사회·경제적으로 ‘허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결국 사회가 책임을 모두 떠안는다”고 했다. 이어 “가정·학교·사회를 통합하는 ‘컨트롤타워’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청년 마음건강 사업 등 청년 기본 지원이 막 시작하는 단계”라며 “중앙정부와 협의 등으로 보조를 맞춰가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