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소기업 ‘판매부진체감 70.8%’...경기도의회, 유통망 구축 지원 등 구매촉진 근거 마련

김인순 경기도의원
김인순 경기도의원

매출부진에 빠진 경기도내 중소기업들이 제품의 유통망 구축 등을 지원받아 매출증대를 이룰 전망이다.

경기도의회가 중소기업의 경영안정 도모를 위해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를 촉진할 수 있는 지원 사항을 조례에 담아 입법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25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경제노동위원회 소속 김인순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화성1)은 ‘경기도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올해 설 자금 사정에 곤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800개(수도권 396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 조사 결과를 보면, 수도권 중소기업 중 24.2%는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답했다. 자금 사정이 곤란한 원인(복수응답)으로는 ‘판매부진’이 70.8%로 가장 많이 꼽혔고,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85.6%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기업이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은 결과로 해석된다.

이에 김인순 부위원장은 중소기업 제품의 매출을 확대할 수 있는 지원 근거를 조례안에 담았다.

조례안을 보면 먼저 경기도는 도내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촉진을 위해 도가 설립한 출자·출연기관 등에 도내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을 궈장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또 법령에서 정하는 중소기업 제품 구매목표비율 이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제품의 구매촉진을 위해 ▲중소기업제품의 유통망 구축과 홍보·판매 또는 사후관리 지원 ▲중소기업의 전시회·박람회 개최 또는 참가 지원 ▲중소기업의 마케팅 능력 향상 지원 ▲중소기업의 국외시장 개척 및 국외진출거점 확보 지원 ▲그 밖에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개척 지원을 위해 필요한 사업 등을 실시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김 부위원장은 “도내 주요기업 제품의 구매촉진을 통해 경영안정을 도모하고자 이번 조례를 발의하게 됐다”며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토대로 지역경제가 함께 부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