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인 설 연휴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CJ대한통운의 노사 대립은 여전히 해결 국면을 맞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총파업에 돌입(경기일보 2021년 12월31일자 6면)한 지 한 달쨰가 되면서 배송 차질도 점차 심화되고 있다.
택배노조는 25일 서울 중구 CJ그룹 본사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을 향한 규탄을 이어갔다. 경기지부 소속 조합원 100명은 26일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별도로 총파업 지지 기자회견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는 지난해 12월28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사회적 합의에 따른 요금 인상분 170원의 60%가 사측의 이윤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이유다. CJ대한통운 측은 노조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며 사실상 한 달 내내 평행선을 달리는 형국이다.
특히 택배사는 대리점과 계약을 맺고 다시 대리점이 기사와 계약하는 업계의 특수한 고용 구조 탓(경기일보 4일자 6면)에 사측은 노조의 교섭 요구에도응하지 않고 있다. 그러는 사이 파업의 영향은 조합원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점차 주변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전날인 24일 국토교통부가 밝힌 사회적 합의 이행 여부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까지 ‘불난 집에 기름 부은 격’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새해 들어 전국 택배터미널 25곳을 점검한 결과, 모두 전담 분류인력을 투입했거나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노조가 주목하는 건 분류작업에 대해 기사의 ‘완전 배제’가 이뤄진 곳이 7곳(28%)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노조에서 핵심으로 꼽았던 요금 인상분 배분에 대한 조사는 일절 이뤄지지 않았다. 파업 중단까지 걸었으나 물거품이 되면서 ‘설 택배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택배노조 관계자는 “국토부는 사회적 합의 이행을 위한 요금 인상분이 어떻게 쓰이는지, CJ대한통운이 인상분의 절반 이상을 이윤으로 챙기는 행위에 대해 점검하지 않았다”며 “국민이 허락한 요금 인상을 이윤으로 빼돌리는 시도를 막지 않는다면 사회적 합의는 사문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J대한통운은 설 연휴 배송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력 1천700명을 추가 투입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추가로 투입되는 인원들은 사측 소속의 직영 택배기사와 분류 지원인력으로, 명절을 맞아 택배 물량이 증가하면서 배송 차질이 발생한 곳 위주로 투입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예년 설에는 통상 20~30%가량 물량이 증가했지만,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평상시 물량이 크게 늘어난 탓에 설 연휴 전후로 늘어난 물량은 10~13% 정도 수준이다. 경기도에선 광주시, 성남시 일대를 중심으로 배송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