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안성 '무공천' 방침…지역 정가 요동, 여야 온도차 뚜렷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3월9일 제20대 대통령선거와 함께 치러질 안성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후보를 공천하지 않기로 하면서 지역 정가가 요동치고 있다. 여당인 민주당을 빼고 국민의힘과 정의당 등 야당 후보 간 대결로 선거가 재편된 것을 두고 여야 역시 뚜렷한 온도 차를 보였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인천 계양을)는 25일 서울 여의도에 있는 민주당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권교체를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가 높은 것은 민주당의 부족함 때문이다. 이에 민주당은 기득권을 내려놓고 정치의 기본으로 돌아가겠다”며 안성을 비롯해 종로와 청주 상당구 등 3곳에 후보를 내지 않겠다는 ‘무공천’ 방침을 밝혔다.

그는 “아픈 결정이지만, 민주당이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출마를 준비해온 분들에겐 죄송하다”며 “이 밖에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 30% 이상 청년이 공천될 수 있도록 하겠다. 또한 저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고 차기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송 대표가 안성 재보궐선거 무공천을 선언하면서 그동안 민주당 유력 후보로 꼽힌 윤종군 전 경기도 정무수석과 임원빈 전 지역위원장 등은 아쉽다는 입장이다. 윤 전 정무수석은 이날 “아쉬움이 크지만 정당인으로서 당의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며 “안성 발전을 위해 우선 이재명 후보의 당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임 전 지역위원장은 “아쉽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이다. 다만 지역 내에서 이번 결정이 부적절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쌍수를 들고 환영하는 분위기다. 안성이 전통적으로 보수 색채가 짙은 곳이지만, 지난 선거에선 민주당이 승리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현재 국민의힘에선 안성에서 3선을 지낸 김학용 전 의원과 이상민 경기도당 대변인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경선을 준비 중이다.

정의당 역시 민주당의 무공천 방침이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정의당은 이주현 안성시위원회 위원장이 후보로 이름을 올린 상태다.

정의당 관계자는 “지역 주민에게 진솔하게 다가가 정의당의 깃발을 안성에 꽂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광역·기초의원 30% 이상 청년 공천’도 경기 지역 정가에 큰 파장을 불렀다.

경기도 광역·기초의원(총 589명, 광역 142명·기초 447명) 중 30%에 해당하는 176명 이상을 2030세대에 할당하는 건, 청년 표심을 잡기 위한 과도한 특혜라는 지적이 제기된 탓이다.

현재 경기도의회 연령별 민주당 의원 현황을 보면, 총 131명의 의원 중 만 39세 이하는 황대호(35)·오지혜(36)·최세명 의원(39) 단 3명에 불과하다. 즉 쇄신안대로 지방선거 공천이 진행되면 현 의원 28명은 단순 나이 조건만으로 공천에서 탈락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민주당 소속 A 정치인은 “송 대표의 쇄신안은 평소 출마를 목표로 정당에서 열심히 활동했던 40세 이상 정치인을 배제하는 역차별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며 “2030 인력풀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 같은 공천방식이 결정되면 후보의 자질 논란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임태환·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