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집단면역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방역당국의 분석에 경기도 소상공인들의 불만이 분노로 번지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된 이후 불과 며칠 만에 하루 확진자 숫자가 1만3천명을 넘어 확산세가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지난 25일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코로나 확진자가 대거 발생하면 집단면역 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 같은 소식에 도내 소상공인들은 정부가 힘들고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농락하고 있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수원시 인계동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A씨(45)는 ‘집단면역을 기대한다’는 소식에 피가 거꾸로 솟은 느낌을 받았다고 반발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화된 방역 조치 여파로 영업 제한에 따른 손실과 백신패스로 인해 월 매출이 크게 줄면서 A씨가 가족 생계비를 위해 대출 받은 돈은 벌써 8천만원을 넘어섰다. 특히 월세 또한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낼 수 있을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A씨는 “거리두기에 이어 백신패스까지 도입하더니, 이제는 정부가 집단면역 타령을 하고 있다”라며 “집단면역을 반길 거라면 방역패스며, 영업제한은 왜 했는지 정부의 무능한 정책을 이해할 수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맥주집 사장인 B씨(48·안양시 범계동)도 “이럴꺼면 백신은 왜 3번씩 강제로 맞게 하고, 방역 조치 강화로 자영업자는 왜 계속 피해를 보게 했느냐”라며 “방역 정책에서 늘 힘없는 소상공인들만 피해를 받아오고 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두 번 죽이는 무책임한 정부에 진절머리 난다”고 분개했다.
이와 관련, 최승호 질병관리청 위기소통팀 사무관은 “해당 발언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다. 강화된 방역 조치를 서둘러 하지 않았으면 확진자는 지금보다 더 증가했을 것”이라며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하지만, 국가 위기 상황 속에서 정부는 늘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