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군·구 7곳,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 6천t 초과…코로나19 장기화 영향

인천의 군·구 10곳 중 7곳이 지난해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 달성에 6천t 이상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생활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및 소각장 반입량은 32만3천46t으로, 목표량 31만6천388t보다 2.1%(6천658t)를 초과했다.

지역별 인구 증감 요인 등을 반영한 생활폐기물 보정 감축률이 가장 높게 나온 군·구는 중구(15.32%), 강화군(5.6%), 미추홀구(0.11%) 순이다. 이들 3곳을 제외한 군·구 7곳은 모두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량을 초과했다. 이들 군·구 중 보정 감축률이 낮게 나온 곳은 옹진군(-21.78%), 서구(-8.65%), 남동구(-4.59%) 등 순이다.

시는 이들 군·구가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 달성에 실패한 이유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1회용품 사용의 증가를 꼽고 있다. 또 인구 증감의 차이가 군·구별 목표 달성에도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시는 올해 군·구별 관련 사업비를 차등 지급하기로 했다. 시는 이미 생활폐기물 반입량이 3만t 이상인 지역과 미만인 지역을 구분해 1·2군으로 나눈 뒤 사업비 20억원을 차등 지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1군 중 지난해 유일하게 목표에 달성한 미추홀구는 사업비 4억2천만원을 지원받는다. 중구는 3억6천만원, 연수구·계양구는 2억1천만원 등이다. 1군과 2군의 최하위인 서구와 옹진군은 사업비를 지원받지 못한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과 비교해 오는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을 10% 감량하는 ‘목표관리제 계획’을 마련했다. 이 같은 계획을 토대로 시는 매년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량을 지난해 31만6천388t, 올해 30만9천931t, 내년 30만3천474t, 2024년 29만7천17t, 2025년 29만560t 등으로 설정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세로 1회용품 사용이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어 “2025년까지 목표량에 도달하도록 인센티브 제도를 시작으로 사업을 확대해 10개 군·구가 생활폐기물 감량 목표에 도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