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급식일 잔반 30~40% 느는데...인천시교육청, '채식급식' 도입 논란

인천시교육청이 채식 식단 연구 및 영양교육 등이 부실한 상황에서 지역 내 모든 학교에 의무적으로 채식급식을 도입해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지역 초·중·고등학교는 올해부터 1개월에 2일 이상은 육류나 대체육을 사용하지 않는 채식급식을 하거나 ‘채식 자율배식대’ 운영, 매일 채식반찬 1개 추가 배식 등 3가지 방식의 채식급식 중 1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 안팎에서는 아이들이 선호하는 채식식단을 연구하거나 채식식단의 필요성 등에 대한 교육 없이 채식급식을 전면도입하는 건 ‘급식 잔반 늘리기’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채식급식 선도학교’로 참여한 6곳 중 2곳 이상은 올해 선도학교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채식선도학교란 시교육청이 1곳당 1천만원의 예산을 채식급식을 위해 지원하는 제도인데, 학교 측은 학생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오히려 민원을 받기 일쑤라고 말한다.

한 선도학교 영양교사 A씨는 “채식급식날이면 아이들이 ‘맛없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평소보다 30~40% 정도 많은 잔반이 나온다”며 “‘맛있게 건강한’ 채식급식을 연구하고는 있지만, 혼자서 모든 메뉴를 준비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채식급식은)손이 많이 가는 메뉴가 많아 인력 소모가 크면서도 오히려 잔반이 많은 상황이라 힘이 빠진다”고 했다.

또 다른 선도학교 교감 B씨는 “아이들의 식습관 자체가 ‘고기’에 치중해 있어서 채식식단을 하는 날에는 반찬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하다보니 채식을 먹게 하려는 본래의 목적과는 어긋나는 부분이 많았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시교육청은 지난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채식급식을 만들기 위한 ‘채식식단 연구회’를 단 1차례도 열지 않았다. 학생이나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전무하다. 시교육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1년 기후위기대응 채식급식 만족도 조사’를 보면, 인천지역 학교 학생 및 학부모, 교직원 1만4천657명 중 9천160명(62.5%)이 “채식식단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변했다. 이 중 4천836명(33%)도 채식급식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이영은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채식급식을 무조건적으로 확대하는 것보다는 채식식단에 대한 영양학적 교육과 식단연구가 선행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상당수 학부모와 학생들이 채식급식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채식급식의 필요성은 공감하는 만큼, 부족했던 채식 식단개발과 영양교육 등을 함께하겠다 ”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