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22학년도 1학기 방역 및 학사운영 방안을 통해 각 학교별 정원 대비 20% 수준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배부하기로 하면서 경기·인천의 일선 학교들이 등교 대란을 우려하고 있다.
8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경기도·인천시교육청은 교육부의 학사운영방안에 따라 전체 학생 및 교직원의 약 20% 수준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확보하고, 유·초등학생에 대해서는 약 10%를 추가 구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은 총 48억여원을 들여 전체학교 4천802곳에 신속항원검사키트 190만3천260대의 물량이 필요하다고 교육부에 보고했다. 또한 인천시교육청은 총 예산 3억4천만원을 들여 전체학교 955곳에 약 13만5천개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준비하기로 했다.
그러나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정원대비 20%에 불과한 신속항원검사키트로는 정상적 등교 개학을 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방역체계 개편 등으로 유증상 학생들에 대한 신속항원검사키트 우선 사용 방침이 나왔고,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위한 단체활동이나 기숙사 생활 등에도 신속항원검사키트가 사용돼 수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교육부가 품귀현상 등을 우려해 학교별 구매를 원천 차단하고 있어 개별적인 구매가 불가능해진 학교들의 우려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교육부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의 신속항원검사키트 3종류를 모두 ‘주문차단상품’으로 제한하고, 시·도 교육청을 통해서만 배분받도록 했다.
인천 서구의 한 초등학교 교감은 “지난 6일 중간개학을 하고 나서 유증상 학생들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확보해둔 신속항원검사키트는 없다”며 “정원의 20% 수준의 키트를 나눠주고 전면등교가 원칙이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원의 한 초교 교장은 “학생을 학교에서 검사하는 방침에는 무리가 있다. ‘학교로 찾아오는 백신접종’도 책임소지 우려 등으로 학교들이 거부한 바 있다”고 난색을 보였다.
인천시교육청은 “교육부 발표 이후 세부적인 운영방안을 정하는 단계”라며 “교육부도 내부적으로는 신속항원검사키트 수급 안정을 되찾으면, 전교생이 1주일에 2번 이상 검사할 수 있는 만큼의 수량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최현호·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