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인에 맡긴 재택치료, 방치로 이어지면 안된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8일 신규 확진자가 3만6천719명 늘었다. 나흘째 3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누적 확진자가 108만1천681명에 이른다. 경기도의 신규 확진자는 1만2천138명을 기록했다. 오미크론 변이는 전파력이 강해 신규 확진자는 앞으로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말쯤 13만명에서 많게는 17만명 수준에 달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면 내달 초쯤 재택치료자가 10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다.

정부가 그제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따른 방역·의료 체계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60세 이상·50대 기저질환자·면역 저하자 등 ‘집중관리군’에 해당하지 않는 확진자는 이달 10일부터 의료진 모니터링 없이 집에 머물며 스스로 증상을 확인하고 치료해야 한다. 확진자는 크게 느는데 의료자원이 한정돼 있어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등 중중·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치료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감염자가 폭증하자 의료마비 사태를 막으려는 고육책이다.

이에 따라 무증상이나 경증환자 등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건강 상태를 관리하다 필요한 경우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지정 의료기관이나 동네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게 된다. 야간에는 시·군·구나 시·도별로 24시간 운영하는 ‘재택관리지원 상담센터’가 의료 상담을 진행한다. 정기적 모니터링이 사라지면서, 셀프 재택치료가 일반 환자군에 대한 방치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40대 이하 기저질환자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스스로 증상체크나 병원 진료 신청이 쉽지 않은 사각지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재택치료 중 갑자기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만큼 상담·진료·처방을 신속히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그동안 제기된 보건소·의료기관과의 ‘불통’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최근 하루 2만~3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 재택치료자가 급증하면서 보건소 등과 연락이 되지 않아 정부가 환자를 재택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많았다.

보건·의료 역량을 뛰어넘는 규모의 유행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선택과 집중’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중증과 사망 등 피해를 최소화하고 보건·의료 체계의 붕괴를 막으려면 고위험군 치료에 우선순위를 둘 수밖에 없다. 그렇다 해도 경증·저위험군 환자들이 의료적 도움을 받지 못해 방치되는 일이 있어선 안된다. 연락·이송 등 응급상황에 대비해 시스템을 점검하고 세심한 준비를 해야 한다. 확진자와 자가격리자 등 국민 책임이 커졌다. 이동 관리앱이 폐지됐다고 함부로 돌아다녀선 안 된다. 이제부터가 오미크론 대응의 진짜 시험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