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가 북한 도시와 교류에 나섰으나 코로나19 사태와 남북관계 경색으로 빈손에 그치고 있다.
13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20년 8월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이사장 임종석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 이하 남북경협)과 남북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측은 시민참여와 공동번영을 원칙으로 ▲인도협력 ▲농업협력 ▲산림협력 ▲보건협력과 같은 사업을 함께할 수 있는 북한의 도시를 찾기로 했다. 북한 측과 소통채널 확보역할을 맡은 남북경협과 이 같은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협약을 체결한 지 1년6개월이 지나도록 수원특례시의 계획은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올해 초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데다 코로나19 사태 발생에 따라 북한이 내부 사정으로 문호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면서 수원특례시가 교류를 할 수 있는 북한 도시를 발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런 탓에 수원특례시는 지난해 6월 고양·용인특례시 등 전국 48개 지자체가 소속된 전국 남북교류협력 지방정부협의회 사진전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 유치하는 것에 그치는 등 애초 목표와 달리 단발성 행사 개최에 머물렀다.
더욱이 코로나19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발생 등으로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남북관계 개선은 지자체보단 정부 역할이 커 수원특례시의 행정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수원특례시 관계자는 “지자체가 북한 도시와 교류하기엔 어려운 부분이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하루빨리 코로나19가 종료되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특례시는 지난 2011년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6년 뒤에는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출범한 바 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