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조원씨앤아이 공동 6·1 지방선거 여론조사] ‘차기 광주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6·1 지방선거가 10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차기 광주시장 후보로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신동헌 현 광주시장이, 국민의힘에서는 홍승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이 적합하다는 여론조사결과가 나왔다.

신 시장은 민주당 내 타 후보들에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지만, 홍 전 사장의 경우 국민의힘 타 후보들과 오차범위 내에서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14일 경기일보가 여론조사 기관인 조원씨앤아이를 통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후보 적합도’를 묻는 질문에 신동헌 광주시장이 28.0%을 얻으며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신 시장의 바로 뒤를 이은 박해광 전 시의회 부의장은 8.4%를 얻었는데, 신 시장과 박 전 부의장의 적합도 차이는 19.6%p로 신 시장이 오차범위(±4.4%) 밖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박관열 경기도의원이 8.0%, 동희영 시의원 5.2%, 임일혁 시의회 의장 4.2%, 박현철 시의원 4.1% 순의 적합도를 보였다. 이 밖에 다른 인물 9.2%, 없음 22.7%, 잘모름은 10.3%로 나타났다.

신동헌 시장은 모든 연령대에서 고른 지지를 받았고 특히 60대 이상에서 가장 높은 30.8%의 적합도를 얻었다. 신 시장은 18~29세에서 26.9%, 30대 22.2%, 40대 29.9%, 50대 28.0%를 획득했다. 신 시장의 뒤를 쫓고있는 박해광 전 시의원은 18~29세 연령대에서 11.1%를 얻어 가장 높은 적합도를 획득했으며 30대 7.0%, 40대 7.8%, 50대 9.0%, 60세 이상 7.7%였다.

국민의힘 후보 중 차기 광주시장 후보로 가장 적합하다고 조사된 인물은 홍승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이다. 홍 전 사장은 13.2%의 적합도를 얻으며 11.0%를 얻은 방세환 시의원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이어 이미영 시의원이 9.3%, 강석오 전 경기도의회 부의장이 9.3%로 동률을 기록했다. 이 밖에 다른 인물은 12.4%, 없음 28.9%, 잘모름 15.8%로 나타났다.

홍 전 사장의 경우 18~29세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20.4%의 적합도를 얻었고, 30대 13.9%, 40대 15.6%, 50대 9.1%, 60대 이상 9.7%로 나타났다. 홍 전 사장의 뒤를 잇는 방세환 시의원은 50대에서 14.6%를 얻었고, 18~29세 14.2%, 30대 12.0% 40대 7.5%, 60세 이상 8.6%였다.

한상훈·김승수기자

 현역 신동헌 강세 속… 부동층 36.7% ‘예측불허’ 

광주시장 후보 여론조사에서 정당별로 민주당에서는 신동헌 시장이, 국민의힘에서는 홍승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10%p 이상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도 역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보다 20%p 이상 앞섰다.

 

■ 현역프리미엄 강세, 그러나 최종 민심 향방은 ‘아직’

이번 광주시장 후보 여론조사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신동헌 현 시장이 가장 앞서나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 시장은 차기 광주시장으로 누구를 지지하겠냐는 질문에 20.9%의 지지를 얻으면서 모든 후보들을 오차범위 밖에서 따돌렸다. 신 시장의 뒤를 이어서 박해광 전 시의회 부의장 6.2%, 박관열 경기도의원 5.7%, 홍승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 5.5%, 방세환 시의원 4.3%, 강석오 전 경기도의회 부의장 4.1%, 이미영 시의원 3.5%, 동희영 시의원 3.5%, 박현철 시의원 3.4%, 임일혁 시의회 의장 1.7%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 시장이 현역 프리미엄으로 앞서고 있기는 하지만, 차기 광주시장 후보가 ‘없다’라는 응답이 18.8%, ‘잘 모름’이라는 응답이 17.9%로 나타나면서 아직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없다’라는 응답과 ‘잘 모름’이라고 한 응답을 합산하면 36.7%인데, 이들의 선택에 따라 차기 광주시장의 판세가 격변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 대선 후보 지지도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이 후보는 45.7%를 얻어 35.5%의 윤 후보를 10.2%p 앞섰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는 8.1%,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고양갑) 2.1%, 새로운물결 김동연 대선 후보 1.9%, 다른 인물 2.0%로 각각 나타났다. 없음과 잘모름은 각각 3.9%와 0.7%였다.

거주지역별로 1선거구(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송정동, 탄벌동)는 이 후보 47.2%, 윤 후보 38.6%로 오차범위 내(8.6%p) 접전, 4선거구(오포읍)도 이 후보 45.7%, 윤 후보 37.3%로 오차범위 내(8.4%p) 접전이었다.

이에 비해 2선거구(경안동, 쌍령동, 광남1동, 광남2동)는 이 후보 43.4%, 윤 후보 33.2%로 이 후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10.2%p 높았고, 3선거구(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역시 이 후보 47.2%, 윤 후보 33.1%로 이 후보가 14.1%p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이 후보가 40대(59.7%)와 50대(52.6%)에서 절반 이상의 지지를 받았고, 윤 후보는 60세 이상(52.2%)에서 절반 이상의 지지를 받았다.

18~29세는 윤 후보가 40.3%를 얻어 이 후보(30.6%)보다 9.7%p 높은 반면, 30대는 이 후보가 47.5%를 차지해 윤 후보(20.4%)와 안 후보(19.5%)를 20%p 이상 크게 앞섰다.

남성과 여성도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이 후보 40.7%, 윤 후보 43.5%로 오차범위 내(2.8%p)에서 초접전인데 비해 여성은 이 후보가 50.9%로 절반을 넘어 27.2%인 윤 후보를 앞섰다.

 

■ 정당 지지도

민주당이 45.1%를 얻어 22.0%에 머무른 국민의힘을 2배(23.1%p)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당은 9.9%, 정의당은 3.8%였으며, 기타정당 4.3%, 없음과 잘모름은 각각 12.6%와 2.4%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4선거구(오포읍)에서 48.1%로 가장 높았고, 2선거구(경안동, 쌍령동, 광남1동, 광남2동) 47.3%, 1선거구(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송정동, 탄벌동) 45.6%, 3선거구(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37.4%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1선거구 24.1%, 4선거구 22.3%, 3선거구 20.6%, 2선거구 21.0%였다.

여성의 경우, 민주당이 52.0%로 절반을 넘었고, 국민의힘은 15.0%에 그쳤다. 남성은 민주당이 38.5%로, 국민의힘(28.7%)을 9.8%p 앞섰다.

김재민·한상훈기자

※이번 조사는 본보가 조원씨앤아이(조원C&I)에 의뢰해 2022년 2월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광주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통신사제공무선가상번호 100%: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무작위추출)를 실시한 결과다. 표본수는 500명(총 통화시도 8천111명, 응답률 6.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이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가중치 부여 방식: [림가중]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2021년 12월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기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