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노조 "道교육청, 죽음의 급식실 외면 말고 교섭 응답해야"

학비노조 경기지부가 18일 오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교육 당국에 급식실 배치기준 하향 등 개선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규기자
학비노조 경기지부가 18일 오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교육 당국에 급식실 배치기준 하향 등 개선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규기자

열악한 급식실 작업환경에 휴게공간마저 엉망이라는 지적(경기일보 2021년 12월3일자 1·3면)에도 이렇다 할 개선이 없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가 급식노동자 결의대회를 열고 교육 당국을 규탄했다.

학비노조 경기지부는 18일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교육 당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결의대회에는 경기지역 각 학교의 대표 급식종사자가 250명 이상 집결했으며, 모두 급식복을 입고 참여했다.

학비노조의 주요 요구사항은 ▲특별교섭 응답 ▲배치기준 완화 ▲학교 급식실 노동강도 문제 종합대책 마련 ▲공기질 개선 위한 급식실 후드 교체 ▲상시전일제 근무 전환 등 9가지다.

학교 급식종사자의 1인당 평균 식수 인원은 약 150명으로, 이는 공공기관 식수 인원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더욱이 짧은 조리시간에 강도 높은 노동이 이뤄지다 보니 급식실은 건설현장보다 높은 산재율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비노조는 지난 16일 도교육청에 급식실 배치기준 개선과 인력 충원을 위한 특별교섭을 요구하는 공문을 전달했다.

최진선 학비노조 경기지부장은 “현장에선 급식종사자들에 대한 고통이 계속 가중되고 있지만, 교육 당국은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배치기준 문제는 급식종사자의 열악한 처우 개선을 위해 반드시 해결돼야 하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투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교육청 학교급식협력과 관계자는 “특별교섭은 고용노동부의 승인이 이뤄지지 않아 당장 성사되긴 어렵다”면서도 “오는 4월부터 진행될 단체교섭 협상에서 배치기준 완화, 인력 충원 문제까지 포함해 폭넓게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