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소비자 보호 내세우지만, 소비자 불만은 중고차보다 신차 시장이 더 많아”
“소비자 보호, 판매 등 어떤 면을 봐도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은 명분이 부족합니다”
엄태권 경기도자동차매매사업조합장(53)은 24일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고차는 판매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차량의 품질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며 완성차 대기업의 시장 진출을 반대했다. 엄 조합장은 “중고차 판매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운영돼 대기업이나 소상공인이나 기본적인 업무 프로세스는 동일해 기술 경쟁이 없다”면서 “브랜드 인지도와 자본력 차이만 있을 뿐인데, 완성차 대기업이 이를 무기로 진입하면 독과점 가능성이 커지면서 산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정부는 시장 진입을 준비하는 현대차에 사업의 일시 정지를 권고했지만, 현대차는 진출을 공언한 상태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의 심사위원회에서 중고차 판매업에 대한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심사가 진행 중이며 다음 달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엄 조합장은 중고차 시장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는 대기업의 명분을 반박했다.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가 한국소비자원에 요청해 받은 자료를 보면 최근 10년간 소비자상담 접수 현황은 한해도 빠짐없이 중고차보다 신차가 많았다. 지난해 소비자상담 접수는 신차 6천830건·중고차 4천662건으로 신차가 1.5배가량 높았다. 지난해 피해구제 접수도 신차는 464건, 중고차는 94건으로 신차가 5배 정도 많이 접수됐다. 반면 지난해 거래 대수는 중고차 거래가 신차보다 1.38배 많았다.
그는 “소비자 불만은 중고차보다 그들이 주도하는 신차 쪽에서 더 많이 나온다. 오히려 중고차는 시장 규모가 큰데도 민원은 더 적다”며 “통계는 수 년 간 이어온 업계의 자정 노력을 그대로 보여준다. 중소업체의 생존권을 위해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