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화폐인 ‘인천e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천e음 2.0 모델’ 등 새로운 모델 마련이 시급하다. 지역 안팎에선 이를 위해 운영대행사 공모 일정을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사전질의서(RFI) 공고를 한 뒤, 이를 토대로 현재 인천e음 운영대행사 선정 공모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운영대행사 공모보다 인천e음이 지속가능하도록 새로운 모델부터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 당초 시의 계획과 달리 코로나19 장기화로 여전히 사용액의 10%를 되돌려주는 캐시백이 이뤄지고 있는 데다, 해마다 지역화폐에 대한 국비 지원 감소 등으로 캐시백 예산의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현재 시스템으로는 소비자나 가맹점 결제내역 등 인천e음의 빅데이터 활용도가 떨어지는 데다, 소상공인이 직접적으로 받는 혜택 역시 미비한 상태다. 결과적으로 인천e음의 도입 목적 등을 달성했으나, 캐시백 혜택 등을 계속 유지하거나 추가 확장하는 것은 더딘 셈이다.
이에 따라 시는 운영대행사 공모에 앞서 캐시백 비율을 줄이더라도 시민과 소상공인에 대한 효과를 키울 수 있는 인천e음 2.0 모델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앞서 박남춘 시장도 신년 인터뷰 등을 통해 인천e음 2.0 모델을 직접 언급했다.
당장 시는 인천e음에 소상공인의 직접적인 혜택을 위한 카드결제 수수료를 없애는 대신 플러스 가맹점을 확장하는 방안을 비롯해 인천e음 충전금을 기반으로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공공은행으로서의 역할, 지역의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기능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운영대행사 변경 시 시민과 소상공인의 불편을 최소화할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운영대행사 변경시 애플리케이션(앱) 재설치나 실물카드 변경, 가맹점간 재계약 등으로 혼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임동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은 “시민과 소상공인의 혜택, 그리고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인천e음의 지속가능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플랫폼 확장 계획 등을 마련한 뒤 (운영대행사) 공모를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인천경실련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인천e음의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려면 4월에 끝나는 ‘인천e음 대행사업 회계정산 검토 용역’에 대한 검증이 끝난 뒤, 운영대행사 선정 기준을 마련해 공모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