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저소득층 지원 위해 '촘촘한 자활 지원체계' 구축…도내 자활센터 34곳 적극 연계

경기도가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저소득 취약계층을 지원하고자 촘촘한 자활 지원체계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도는 올해 지역의 취약계층 약 7천명에게 자활근로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도내 총 34곳의 자활센터 간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022년 경기도 자활 지원계획’을 수립했다. 도의 이번 계획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에 따라 수립됐으며, 세부사업별 추진을 통해 도내 저소득층의 자활 및 자립을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도는 약 873억3천만원의 사업비를 투입,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 참여를 통해 약 7천명의 취약계층에 노동기회를 제공한다. 또 지난해 하루 5만6천950원이었던 자활급여도 올해부터는 5만8천660원으로 인상한다.

이어 약 117억6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지역 특색에 맞는 자활사업 추진 등에 나선다. 자활사업은 도내 34곳의 자활센터(광역자활센터 1곳·지역자활센터 33곳)에서 수행할 예정이다. 광역자활센터는 광역 단위의 자활 신규 사업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지역자활센터는 시·군 단위의 자활근로사업을 진행한다.

이밖에 자활 지원 대상자에 대한 1대 1 맞춤형 사례관리를 추진, 취·창업 및 사후관리 등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약 16억3천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복지고용매니저와 대상자 모니터링 등을 확대한다.

아울러 취약계층 대상 자산형성 지원사업인 ‘희망키움통장(사업비 약 49억1천만원)’과 ‘희망저축계좌(사업비 약 22억5천만원)’ 등도 실시한다. 이들 사업은 취약계층이 저축을 하면, 저축액에 따른 근로소득장려금을 매칭해 자산형성을 도와주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도는 올해 자활기금(12억9천여만원)을 사용해 도내 자활기업의 활성화 지원에도 앞장선다. 광역자활기업 5개소에 대해 전문가 인건비 지원, 탈수급자 4대 보험 기업부담금 지원 등을 시행한다. 또 자활기업 활성화 및 인프라 구축 지원과 집수리 자활기업 공동사용 물품구입 지원, 전세·사업자금 융자 지원 등도 병행한다.

도 관계자는 “지역 내 저소득 취약계층이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 분야에서 적극적이고 다양한 지원을 추진할 것”이라며 “도내 31개 시·군에 있는 자활센터와 협력해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