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등 해양 생태관광 메카 구현

인천시가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 보호 등을 통해 해양생태관광 메카로서의 ‘환경특별시 인천’을 구현한다.

1일 시에 따르면 인천의 해역면적은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포함해 2만9천587㎢로 전국 해역의 0.7%를 차지한다. 해안선의 길이는 1천78.82㎞로 전국 해안선의 7.2%에 해당한다. 갯벌 면적은 728.3㎢로 전라남도 1천53.7㎢에 이어 2번째로 넓다. 섬은 유인도 40곳와 무인도 128곳을 합쳐 168곳에 이른다.

특히 인천은 대이작도 주변해역(55.7㎢), 옹진 장봉도 갯벌(68.4㎢), 송도 갯벌(6.1㎢) 등 3곳의 해양·습지보호지역과 함께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66.9㎢) 등 다양한 해양생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 같은 인천 앞바다의 체계적 관리와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 최근 ‘2022년 해양환경보전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 보호 등을 위한 해양·습지보호지역을 5곳으로 늘리고 해양생태관광 활성화 및 서비스 혜택 증진을 위해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는 깨끗한 인천 앞바다 및 건강한 갯벌 조성을 위해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종전 5천200t에서 5천500t까지 늘리기로 하고 관련 예산을 지난해 119억원보다 34억원 증액했다.

이 중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과 관련해 시는 그동안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 모니터링 용역 등을 추진해왔다. 올해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전략 수립 용역, 백령·대청·소청도 지질유산 전문학술조사 용역 등을 잇따라 추진해 오는 12월께 관련 기본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올해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천 해양폐기물 국제포럼’ 개최, 해양보호지역 내 해양생태 탐방시설 조성, 유해해양생물(갯끈풀)의 제거·관리, 갯벌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효율적인 해양환경보전관리를 통해 인천 최초로 점박이물범 집단서식지인 백령도 하늬해변과 진촌리 마을에 대한 ‘국가 생태관광지역’ 선정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했다. 이어 “올해에도 해양생태계 및 해양생물 보호 등의 목표를 달성해 인천을 해양생태관광 메카로 도약시키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