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날벼락 막아라!… 체계적 안전관리 나선다

경기지역에서 매년 수십건에 달하는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는 가운데, 경기도가 이를 예방하고자 체계적인 안전관리에 나선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지반침하 발생 건수는 2019년 53건에서 2020년 47건, 지난해 33건 등으로 집계됐다. 해마다 건수가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매년 꾸준히 수십건씩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도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맞춤형 대책과 현장관리의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 올해 ‘지하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인 관리에 돌입할 예정이다. 해당 계획을 통해 시·군별 세부 실행사항을 마련하고, 매립지와 기성 시가지 등 지반침하 취약지역에 대한 관리 방안 등도 구상한다.

또한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활용해 지하굴착 개발사업장 및 지하시설물 등에 대한 점검도 강화한다. 국토안전관리원과의 협업을 통해 지반침하 우려지역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탐사 등으로 정밀점검도 추진한다. 이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노후된 상·하수도와 가스관 등을 대상으로 우선점검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대응력도 높이기 위해 도 차원의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상시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초기대응과 재발방지 등 여건을 강화한다. 도는 일선 시·군과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 및 운영할 방침이다.

지반침하를 초래할 수도 있는 사전 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도내 건설공사장에 대한 현장점검도 강화한다. 도는 중앙부처와 각 시·군 등과 함께하는 합동점검 외에도 도가 주관해 소규모 민간공사 중심의 현장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어 시·군 안전실태 평가를 추진해 도와 일선 시·군과의 소통과 협력을 더욱 단단히 함과 동시에 주민들의 안전관리 관심도 제고도 유도할 계획이다. 소규모 공사장의 안전시설 지원 방안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한 제도 개선, 정책방향 마련에도 힘쓴다.

도 관계자는 “도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지반침하 발생이 지속, 지하안전에 대한 체계적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에 지하굴착 개발사업장, 노후 지하시설물 등의 철저한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