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무실과 행정실의 업무를 조정하는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사업'을 강행(경기일보 2월22일자 6면)한 가운데 거점학교로 지정된 수원특례시의 한 중학교가 2년간 시범사업에 돌입,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이 사업에 반대해온 교육행정직 노조는 도교육청에 사업 철회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며, 양측 간 갈등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3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수원특례시 소재 A 중학교는 지난 2일 개학에 맞춰 행정실 인력을 충원받으며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사업’ 운영 준비에 한창이다.
A 중학교는 기존 행정실 직원 3명에 3명을 더 받고, 오는 7일 교내 교직원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업무 이관 방식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도교육청은 시범사업 도중 발생하는 문제 등을 개선·논의할 지원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청 부서마다 도내 학교를 지원할 ‘학교 운영 지원단’(가칭)을 위원회 형식으로 운영하며, 본청에서 해결 가능한 교무실 및 행정실의 애로사항을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반면 교육행정직 노조는 개학 당일 ‘나는 A 중학교 근무를 거부합니다’라는 행정실 정상화 투쟁을 벌이는 등 도교육청의 시범사업 강행에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전국공무원노조 교육청본부 경기교육청지부 관계자는 “내주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위원들과 만나 사업 추진의 위법성을 알릴 것”이라며 “앞으로 행정실 정상화를 위한 권역별 토론회를 진행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더 담아 사업 철회의 정당성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시범학교 운영 지원단 구성 작업과 함께 연구용역 업체 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라며 “유의미한 결과를 낼 것이며, 노조와의 대화 창구도 계속해서 열어놓겠다”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