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완화 정책에 소상공인 반응 엇갈려

정부가 코로나19 완화 정책들을 잇따라 내놓는 가운데, 지난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코로나 피해 자영업 총연대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 피해 손실보상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잇따른 코로나19 관련 정책을 놓고 경기도내 소상공인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대통령 선거(3월9일)를 앞두고 표를 의식한 ‘선심성 정책’이라는 부정적 시각이 있는가 하면 ‘위드 코로나’에 한 발 다가섰다는 긍정적 의견도 공존하고 있다.

6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작년 4분기 손실보상 지급계획을 의결하고, 매출이 감소한 소기업·소상공인 등 90만명에 2조2천억원을 보상키로 했다. 또 지난 5일부터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오후 11시까지 1시간 연장한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했다. 2주 뒤에는 본격적인 완화 조치까지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정부가 소상공인들을 위한 코로나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도내 소상공인들의 반응은 엇갈리는 분위기다.

수원특례시 인계동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A씨(58)는 정부의 코로나 관련 정책에 엄청난 불만을 표출했다. 3년째로 접어든 코로나 여파에 따른 피해액에도 여전히 한참 모자란 지원금(300만원), 대선을 코앞에 두고 갑자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까지 발표하면서 표를 의식한 치졸한 정부의 ‘보여주기식 정책’이라며 맹비난했다.

A씨는 “코로나로 피해 본 금액이 1억원을 훌쩍 넘는다”며 “보상 또는 지원금 취지에 맞지도 않는 금액 주고 (정부가)생색은 그렇게 낸다. 대선을 앞두고 이제와서 소상공인의 피해를 최소화한다며 거리두기 완화를 발표하면 속셈이 뻔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손실보상금에 이어 한 주 빠른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정책에 대해 안도의 뜻을 내비친 소상공인도 많았다.

꼬치전문점 대표 B씨(50·평택시 세교동)는 정부의 뒤늦은 정책 행보가 아쉽다면서도, 이제라도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을 위한 움직임을 보여 다행이라는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B씨는 “코로나로 인해 대출받은 금액이 5천만원이 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지만, 100% 보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 아니냐”라며 “이제부터 정부를 비롯해 소상공인·자영업자가 모두 힘을 합쳐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도내 소상공인 관련 단체들은 방역에 절대적으로 협조해 온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상백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늘 노력하는 정부의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며 “코로나 방역에 절대적으로 협조해 온 소상공인들을 위해 정부는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 연합회 또한 이들을 돕기 위한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