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부터 ‘장애인 누림통장’과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기능 보강’ 등 신규 사업을 추진, 도내 57만8천여명에 달하는 장애인들의 복지 강화를 도모한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중으로 장애인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장애인 누림통장’ 신규 사업을 진행한다. 해당 사업은 도내 만 19세(2003년생) 장애인 1천200명을 대상으로 향후 2년간 저축 시 금액의 1대 1 매칭 지원(월 10만원 이내)하는 것이다.
이어 장애인 관련 복지시설의 운영 지원을 강화하고자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기능 보강’도 추진한다. 약 8억원의 예산을 들여 9개 시설에 개보수, 16개 시설에 장비 보강 등에 나선다. 이밖에 장애인 거주시설 14개소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등 54개소에 약 7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도 병행한다.
기존 사업인 ‘장애인연금’과 ‘장애수당’ 지급도 올해 이어간다. 도는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중 소득인정액(월 122만원) 이하 가구 7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연금을 지급할 예정(최고액 약 30만원)이다. 또한 18세 이상 경증장애인 가운데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6만8천여명에게는 1인당 월 4만원의 장애수당을 지원하며,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에 대해선 월 최대 22만원을 지급한다.
장애여성의 출산비용 부담 완화와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교육 지원에도 나선다. 도는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태아 1인당 100만원의 출산비용을 지원하며, 교육 수행기관 2곳을 지정해 장애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사회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내 남부와 북부에 각각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운영해 장애인 학대 사례와 관련해 ▲신고 접수 및 조사 ▲피해 장애인 상담 ▲사후관리 ▲학대예방 홍보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도내 장애인 학대 신고는 843건으로, 이 중 206건이 학대 판정을 받았다. 도는 학대 피해를 입은 장애인의 임시보호 및 사회복귀 지원을 위한 쉼터도 2개소 운영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장애인들의 생활안정 등뿐만 아니라 사회 참여 활성화, 복지 기반 조성 및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기존 사업들과 올해 새롭게 도입된 신규 사업들 모두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