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국민소득 3만5천달러와 코로나 위기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Gross National Income)이 사상 처음으로 3만 5천달러를 돌파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2019년과 2020년 두해 연속 감소했지만 3년만에 반등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1년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NP:Gross Domestic Product)은 전년대비 6.4% 증가한 2천57조4천억원으로 1인당 국민총소득은 4천24만7천원(미국 달러화 기준 35,168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3천762만1천원보다 7.0% 증가한 것으로 코로나 위기 상황속에서 기업과 근로자의 고군분투와 설비투자, 민간 및 정부 소비, 그리고 수출·수입 증가에 따른 것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현재의 위기 국면에서도 세계 10위의 경제강국에 안착했다.

올해 국민소득이 3년만에 크게 반등한 것은 국민소득을 구성하는 경제성장률(실질 기준), 물가(GDP디플레이터 등), 원화 가치 등 지표가 전년도에 비해 높아진 까닭이다.

코로나 위기에도 국민소득 같은 경제지표가 좋아진 이유는 무엇일까. 2020년 1월 첫 확진자가 확인된 이래, 코로나 위기는 통상부문에서 침체를 가져왔으나 과거의 경제위기와는 달리 경제·산업 분야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먼저 경제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교역의존도가 증가했는데 수출·수입의존도가 2019년 75.9%에서 2021년 76.9%로 1%p 상승했다. 특히 순수출(수출-수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후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민간소비가 하락하고 정부소비는 높아지는 추세로 소비회복은 정부가 견인하고 있다. 한편 투자는 정부투자보다 민간투자가 회복을 이끌고 있다.

산업구조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ICT산업(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정보통신업)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코로나 위기 이후 크게 높아졌다. ICT산업이 수출 경기를 견인하고 있는 반면, 비(非)ICT 수출중에서 기계와 자동차가 코로나 위기 이전의 위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에 변화가 없으나, 세부 업종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하락업종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문화·기타 산업 등이고 상승업종은 금융·부동산, 정보통신업 등이다.

이처럼 급변하는 변화 중에도 발전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첫째, 민간소비를 위한 내수진작책이 필요하다. 둘째, 경기회복의 핵심동력인 수출회복을 위한 시장 외연의 확대와 공급망 교란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셋째, 기업투자 확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시장규제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ICT산업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한 기술 확산과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김재식 인천상공회의소 사무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