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는 8일 오전 9시30분께 서해 백령도 인근 10㎞ 지점에서 서해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선박 1척을 예인하고, 탑승자에 대한 관계당국 합동 심문을 했다고 8일 밝혔다.
본부에 따르면 이날 선박의 월선 과정에서 이를 추적하던 북한 경비정이 NLL을 침범했고, 우리 해군은 고속정 40㎜ 함포 3발을 경고사격하며 대응했다. 경고사격을 받은 북한 경비정은 퇴각했다. 북한군이 NLL을 침범한 것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처음이다.
복수의 관계자는 북한군이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백령도에서 8㎞ 떨어진 월례도의 포문을 모두 열어뒀다고 전했다. 주민들 역시 육안으로 이 같은 모습을 확인했다. 북측은 현재 월례도 인근 등 해안에 수백여개의 포를 보유하고 있으며, 포문 개방은 우리 해역에 대한 공격 태세를 갖췄다는 의미다.
특히 경비정이 NLL을 넘어왔을 당시 우리 군이 경비정에 퇴각하라는 경고 통신을 하, 북측 경비정은 해당 선박을 돌려보내라고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시 일촉즉발의 긴장 상황이 생겼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당시 NLL을 넘어온 선박에는 군복을 입은 북한 주민 6명과 사복 차림의 주민 1명 등 7명이 탑승했고, 관계당국은 11시42분께 백령도 용기포항으로 선박을 예인한 뒤, 이들의 귀순 여부 등을 심문했다. 백령도 주민들은 현장에서 방역복을 입은 관계자들이 북한 주민으로 추정하는 이들을 실내로 데려가는 모습을 목격하기도 했다. 관계당국은 중국어선 나포 시와 마찬가지로 이들에 대한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등을 거쳐 심문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배에 탑승한 이들은 항로를 잘못 찾아 월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다.
해경은 이날 오전부터 백령도 인근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에 모두 조업 중단을 명령했고, 주민들에게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조업 자제와 자택 대기 등을 당부하기도 했다.
김경희·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