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크라이나발 경제위기, 기업피해 등 대책 시급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열흘 넘게 이어지면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130달러선을 돌파했다. 2008년 7월 이후 최고가다. 미국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 방안을 검토하고, 이란 핵 협상 타결이 지연되고 있는 불확실성의 영향이 크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배럴당 185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도 에너지 가격의 ‘슈퍼 스파이크(대폭등)’를 경고했다.

밀 선물가격은 최근 한 달 새 70% 폭등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FFPI)는 1년 만에 24.1% 급등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경제적 피해는 이미 심각하다. 원자재값 급등으로 식품과 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저소득 가정이 더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했다.

한국경제도 유가, 환율, 물가 급등 등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겹치는 위기상황에 직면했다. 주가 폭락 등 금융시장도 크게 출렁이고 있다. 유가·환율 상승은 원자재 가격과 직결돼 국내 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 이번달 소비자물가는 4%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가계 소득을 낮춰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는 성장 정체로 이어지게 된다.

정부는 에너지·환율·곡물 등 예상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비상대책을 세워야 한다. 유류세 인하 연장과 비축유 방출도 필요하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 장기적 차원에서 에너지원 확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우리 기업들의 피해가 크다. 러시아가 지정한 ‘비우호국가’ 목록에 한국도 포함, 채무 루블화 상환 등 각종 재제가 동반되면서 국내 기업 피해가 불가피하다. 러시아에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 대기업을 포함해 40여개의 기업이 진출해 있다. 러시아의 제재로 부품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제품 생산 등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수출 기업들의 피해도 크다. 무역협회 경기본부에 따르면 7일 현재 도내 289개 기업이 피해를 접수했다. 대금 회수, 물류 애로가 가장 큰 문제라고 한다,

정부는 국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자체·유관기관과의 합동 대응으로 기업 피해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필요한 지원책은 신속히 제공해야 한다. 대통령 선거에다 코로나19 감염자 폭증, 산불 등으로 국내 상황이 어수선하다. 여기에 경제 쇼크까지 더해지면 대혼란에 빠지기 쉽다. 정부는 비상사태로 여기고 ‘경제 쓰나미’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