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현재 정부 주요 자리다. 국무총리, 사회부총리, 법무부 장관, 국토부 장관이 전부 호남이다. 사정 기관의 핵심이라는 검찰총장, 경찰청장도 호남이다. 권력의 핵심부인 청와대에도 비서실장, 정책실장, 정무수석, 시민사회수석도 호남이다. 문재인 정부 2년차에 지적된 호남 편중 인사다. 2009년 2월 현재 장·차관, 주요 공공기관 기관장·감사 322명다. 영남이 142명으로 45%다. 이명박 정부 2년차 영남 편중 통계치다.
딱히 새로울 것 없는 통계다. 차라리 상식이다. 영남 정권에선 영남 편중, 호남 정권에선 호남 편중이었다. 문재인 정권은 특이했다. 편견을 깨고 호남 편중 인사를 했다. 그러나 이 때의 균형도 기준은 영호남이다. 영남 호남이 차지하기는 마찬가지다. 어느 정권에서도 경기도는 대우받지 못했다. 인구· 산업· 문화 모든 면에서 차지하는 25%의 정량 대우도 없었다. 권력의 중심으로 갈수록 더 심했다. 경기도 역차별의 저간을 흐르는 인사 홀대 역사다.
권력은 정치로부터 나오고, 그 정치는 선거로부터 나온다. 선거 참여가 곧 정치 참여고, 정치 참여가 곧 권력 크기다. 먼 기억 필요 없다. 작금의 지표가 있다. 4, 5일 양일간 사전 투표가 치러졌다. 전남·전북·광주 등 호남 지역이 제일 많았다. 경북 지역이 다음으로 많았다. 또다시 확인되는 영호남의 정치 참여다. 이래서 후보들이 영호남을 찾았다. 호남에서 윤석열 후보가, 영남에서 이재명 후보가 공을 들였다. 공약 내고, 큰 절 하고, 어퍼컷·발차기 날렸다.
사전 투표 꼴등이 경기도다. 하다못해 서울보다도 낮다. 이쯤에서 생기는 ‘앞으로 5년 걱정’이 있다. 또 ‘경기도는 주관 없는 표밭’으로 될까 걱정이다. 또 ‘정치에 관심 없는 표밭’으로 될까 걱정이다. 또 ‘딱히 공 들일 필요 없는 표밭’으로 될까 걱정이다. 현안이 산더미같은 경기도다. 수정법 고쳐야 한다. 군사 규제 바꿔야 한다. 기업 유치 풀어야 한다. 기관 빼가기 막아야 한다. 이런 게 다 법률 행위다. 되는 게 없다. 정치가 없고, 권력 속에 경기도가 없어서다.
다음을 기약하지 말자. 그 때가 오늘이다. 경기도 정치력을 보여줘야 한다. 우리에겐 750만표가 남았다. 경북 전체 유권자 262만명보다 많다. 호남 3지역 500만보다도 많다. 경기도가 남긴 위대한 법칙도 있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호남이 만들었다고들 말한다. 이명박·박근혜 대통령을 영남이 만들었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그들이 애써 덮고 있는 법칙이 있다. 그 다섯을 경기도가 만들었다는 법칙. 경기도 1등이 대통령이 됐다는 법칙이다.
후보를 선택할 자유는 모든 경기도민에 있지만, 투표를 거부할 자유는 어떤 경기도민에도 없다. 경기도 750만명이 행동할 날이 밝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