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물결 김동연 대표가 다음 주 경기도지사 출마 여부를 결정할 거취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
정통 경제관료 출신의 안정감과 정치혁신을 내건 개혁적 성향을 토대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경기도지사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 현재 지방선거 판도를 뒤흔들 강력한 다크호스로 부상할 전망이다.
15일 새로운물결에 따르면 김동연 대표는 오는 6월 지방선거와 관련한 도지사 출마 여부에 대해 다음 주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다음 주 김 대표가 자신의 차후 정치행보를 도지사 출마로 정하면 지방선거 판도 역시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측된다.
김 대표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국무조정실장(장관급), 경제부총리 등 경제관료로서 다채로운 이력을 쌓아온 만큼 경기도 발전의 미래 청사진을 그릴 수 있는 어젠다 형성에 강점을 가질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해 11월 대선 후보 출마를 위해 경기도의회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경기도 공약으로 ▲경기 남북부 지역 격차 해소 ▲판교·광교·동탄 융복합 스마트혁신 벨트 구축 ▲동서남북 4개축을 활용한 지역 경제 발전 등 세부적인 지역 발전 전략을 제시한 바 있어 이 같은 예측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청계천 무허가 판자촌에서 쫓겨나 광주대단지(현 성남시 수정구)로 강제 이주한 소년가장에서 대한민국 경제부총리로 올라선 흙수저 성공스토리를 가졌다는 점과 수원 아주대 총장으로 재임하며 저소득층 학생에게 해외 연수를 지원하는 ‘애프터 유(After you)’ 제도 시행으로 계층 이동 사다리를 마련해주었던 점을 비춰봤을 때,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의 약점으로 지적된 2030표심 공략에도 유리하다는 평가다.
오세제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여권 내 조직화된 세력이 부족해 후보 경선을 통과하기 쉽지 않을 수 있지만 김 대표가 보여준 흙수저 성공스토리와 아주대 총장 시절 보여준 청년과의 교감이 이슈화된다면 대중에게도 크게 매력적인 인물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15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경기도지사) 출마를 권유하는 분들이 제법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여러 가지 방향과 가치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생각해보고 그 단계를 지나서 (출마를) 고민해봐야 하는 게 아닌가 한다”고 밝혔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