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가 계속 확산하면서 15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전국 36만2천338명을 기록, 누적 722만8천550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가 연일 30만명을 크게 웃도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전례없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15일 위중증 환자는 1천196명으로 전날보다 38명 늘었고, 사망한 사람은 293명이다.
방역당국이 지난 14일부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에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자로 인정하기로 하면서 동네 병·의원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추가 유전자증폭(PCR) 검사 없이 RAT로만 확진자 여부를 진단한다니 가까운 병·의원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 항원검사는 전국 7천588곳 병·의원에서 받을 수 있다. 검사 결과가 바로 나오고 진료와 처방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아직 미흡한 점이 많아 여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병·의원에서 신속검사를 받으려는 사람이 몰려 수십명이 병원 밖까지 다닥다닥 붙어서 2~3시간 줄을 서있고, 실내에도 빽빽이 들어차 있어 검사하러 와서 감염되는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신속항원검사에서 확진자로 분류된 사람 중 미감염자가 5% 정도라 하는데 이들에게 치료약 등을 줘도 괜찮은지도 걱정스럽다.
확진자 정보를 입력하는 전산 시스템 미비로 인한 혼란도 있었다. 일부 병원에선 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 정보가 시스템에 입력되지 않아 다시 선별진료소로 보냈다. 확진자 정보를 의사가 전산시스템에 입력하려면 하루 전 신고 권한을 신청해야 한다는 사실을 질병관리청이 제대로 안내하지 않은 탓이다.
하루 30만명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일선 의료기관으로 행정 부담이 크게 전가됐다. 검사 업무를 맡게 된 병·의원들은 갑작스럽게 늘어난 업무량에 허덕이고 있다. 과부하가 걸린 의료 현장에선 “코로나 환자 신고 업무를 간소화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병·의원은 검사 외에 양성자 자가격리 지침 안내와 진료, 처방도 한다. 여기에 코로나 환자 발생시 서식에 맞춰 신고하는 의무까지 추가됐다.
정부의 의료체계 전환 개편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위중증 환자가 2천명씩 나오는 등 ‘병상 대란’이 생길 가능성에 대비하고, 수술·분만·투석을 받지 못해 생명을 위협받는 경우는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열흘 정도안에 정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선별진료소·선별검사소 등에 쏠릴 검사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한시적인 조치이기도하다. 정부는 동네 병·의원의 진단·치료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 뒷받침과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