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친화적인 도시’ 정책에 직격탄
늘어난 횡단보도… 지하도 통행 줄어
편의성 부족·업종 한계… ‘쇠락의 길’
인천 지하도상가를 활성화하기 위한 인천시의 차별화 전략 마련과 온라인 쇼핑 기반 구축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6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의 지하도상가는 1970년 새동인천지하도상가를 시작으로 경인선 주변의 지하보도를 이용한 상업시설의 공급이 이뤄지면서 15개까지 늘어났다. 이들 지하도상가는 현재 지역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하도상가는 콘셉트가 서로 유사하고 관리 시스템 개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새로운 유통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지하도상가가 침체를 겪는 것은 상가 매력도 저하, 도시 쇠퇴, 유통환경 변화 등 내외부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인천은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를 정책 기조로 삼아 횡단보도 등을 추가로 설치하면서 지하도상가의 통행적 기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이는 유동인구 감소로 이어지며 지하도상가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하도상가는 백화점처럼 목적형 상권이 아닌 이동 동선 상에서 구매가 일어나는 상권이라서 유동인구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또 주변 경쟁 관계의 다른 쇼핑시설과 비교해서도 편의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상가의 통합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급격하게 바뀌는 유통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특히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임대료 책정 방식과 시설 확장이 어려운 지하공간의 특성으로 지하도상가 내 점포들의 업종 변환 역시 어렵다. 이 때문에 지하도상가의 업종은 종전부터 대부분 부담없이 구입할 수 있는 중저가 의류, 액세서리 점포 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더욱이 인천의 지하도상가 대부분은 선형적 구조로 앵커시설이 함께 들어서기 어렵고, 진출입구의 디자인적 매력도와 시인성이 부족해 존재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의 지하도상가가 활성화하려면 시가 지하도상가의 수준별 업종 구성 등 차별화 전략을 마련하고, 온라인 쇼핑 기반 구축, 지상과의 연계성 등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우선 당장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지원하면서 중장기적인 관리방안을 실행할 계획”이라며 “소비패턴의 변화에 인천 지하도상가들이 따라갈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 시설 개선 등의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