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극심한 침체를 겪는 인천 지하도상가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16일 시에 따르면 최근 ‘지하도상가 활성화방안 연구 및 실태조사 용역’을 완료하고 이를 토대로 지하도상가의 업종 변환, 온라인 서비스 등 사업 추진을 검토한다.
시는 용역 결과에 따라 활성화 수준별 차별화 전략(업종 구성), 온라인 쇼핑 기반 구축, 편의시설 비율 증대, 지상과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등 세부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현재 지하도상가의 운영 체계는 인천시설공단이 일반입찰로 점포별 상인을 모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격으로만 낙찰자가 정해져 특색 있는 상권 조성을 할 수 없는 상태다. 이에 따라 시는 지하도상가 관리운영 조례 등을 개정해 업종제한 등의 규정을 두고 차별화한 업종 구성(MD)을 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늘어나는 빈 점포를 활용해 공공목적의 공동 매장을 운영하는 등 상가 내에 신규 MD를 구성해 유동인구를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앵커시설을 유치하면 통로로써의 상가가 아닌 목적형 상권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지하도상가 중 이용률이 매우 낮으면 상가의 기능을 스타트업 업무공간이나 공공문화시설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세우고 있다.
시는 오프라인 판매에 주로 머물고 있는 지하도상가들의 온라인 플랫폼 진출 지원, 인천e음과의 연계 방안 등에 대한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시장이 성장하면서 유사한 상품 구성을 갖춘 지하도 상가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소비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시는 용역에 따른 세부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낡은 지하도상가의 개선 사업도 추진한다. 시는 이 사업의 하나로, 인천의 지하도상가 중 낡은 제물포지하도상가의 개선 사업을 벌여 지난달 재개장한 상태다. 시는 제물포지하도상가를 청소년을 위한 복합 문화 쇼핑공간을 주제로 업종을 특화구성했다. 또 점포크기를 조정하고 상가 내에 미디어아트·중앙무대·댄스실·커뮤니티실·스튜디오·스터디룸 등을 조성,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호응을 얻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제물포지하도상가를 시작으로 앞으로 다른 지하도상가의 개선 방안도 찾을 방침”이라고 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